본문 바로가기

리뷰593

하늘엔 아홉개의 별, 사람에겐 아홉개의 구멍! 별에서 온 구멍을 차갑게 해주는 규음혈 열려라, 참깨? 열려라, 규음! 나, 쌍꺼풀 수술할래 지난겨울, 동생 집에 놀러 갔다가 겪은 일화다. 네 살배기 조카와 함께 길 건너 아파트 단지에서 여는 시장에 다녀오는 길이었다. 조카와 나는 손을 잡고 몇 발자국 먼저 가고, 동생이 좀 뒤처져 오고 있었다. 아파트 단지를 막 벗어나려는 순간, 조카가 다니는 어린이집에 같이 다니는 아이를 만났다. 그 아이는 할머니와 함께였다. 아이가 먼저 조카를 보고 아는 체를 했다. 나는 조카에게 친구냐고 묻고 있는데 동생이 금세 오더니 할머니에게 인사를 했다. “수, 할머니세요? 안녕하세요. 수, 할머니랑 어디 다녀오는구나!” 동생은 할머니에게 엷은 미소를 보냈다. 할머니는 동생에게 물었다. “우린 놀이터 갔다가 오는 길이에요. 근데 얘는?” “수랑 어린이집 같이 .. 2014. 3. 20.
몸속에서 이루어지는 마주침으로 생성되는 사건들 -침, 땀, 콧물… #긴장-진액-에피쿠로스 마주침의 유물론 회사원이라면 처음 만난 사람끼리 악수를 주고받는 것은 기본적인 예의다. 물론 명함을 교환하는 것도 빠트릴 수 없다. 하지만 나는 그럴 때 마다 약간 망설여진다. 땀이 많은 손 때문이다. 특히 상대가 외국인이나 여자라면 민망함이 커져, 회의 내내 안절부절못할 때가 부지기수다. 어느 정도냐 하면, 심할 때는 명함이 단 몇 분 만에 홍건이 젖을 때도 있다. 어쩌면 나는 전생에 물고기가 아니었을까. 사방이 물로 뒤덮인 곳에서 나고 자랐으니, 그리 엉뚱한 말도 아니다. 춘삼월 강변 바람이 산불을 더 강렬하게 키우듯, 회의 내내 안절부절못하는 내 긴장은 손을 익사 상태로 몰아넣는다. 몸속을 돌아다니는 물을 동의보감에서는 ‘진액’이라고 한다. “하루 종일 돌아다녀서 진액이 다빠.. 2014. 3. 19.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스텔라리움으로 별 보기 고마워요, 스텔라리움! 요즘 반갑지 않은 손님, 미세먼지가 자주 덮칩니다. 목이 따끔거리고 하늘도 뿌옇지요. 지난 토요일에는 달이 크고 둥글게 보이더군요. 그런데 도심에서는 달 외의 별을 보기 쉽지 않다는 사실~ 저는 이게 늘 아쉬웠습니다. 별을 잘 알지는 못해도 카시오페아나 오리온자리, 전갈자리 같은 몇몇 별자리는 하늘에서 찾기 쉬워서 퇴근하면서 종종 밤하늘을 올려다보곤 했거든요. 얼마전 종영한 드라마 를 보다가 제 눈을 번쩍 뜨게 만들었던 아이템은 바로 천체망원경입니다! 물론 가격을 보고 깜짝 놀라서 살 엄두가 전~혀 들지 않더군요. 하하;;; 여하튼 요즘처럼 별 보기 쉽지 않을때, 별을 직접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정보를 조금 수집해보았습니다. 먼저, 집 근처에 있는 천문대에 방문하시면 저렴한 가격.. 2014. 3. 17.
“이 세상에 제일 만만한 인종은 돈 없는 인텔리” 한국근대소설, 등장인물소개로 맛보기 ➀ 맛볼 소설 : 채만식, 「명일」(明日), 『조광』(朝光), 1936년 10, 11, 12월호 시놉시스 1936년 숨이 턱턱 막히게 무더운 여름날 정오 무렵. 멀리 마포 앞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동네에 세들어 사는 고학력 무직자 범수는 당장 저녁거리 살 돈이 없어 한숨짓는 아내 영주와 아이들의 교육문제로 말다툼을 하다가 돈을 구해오겠다며 종로 거리로 나간다. 영주는 아이들에게 저녁을 먹일 수 있도록 자신에게 단골로 삯바느질거리를 맡기는 싸전댁을 기다리고, 오전에 멀건 수제비만 먹고는 내내 쫄쫄 굶은 범수와 영주의 아이들(종석, 종태)은 저녁 무렵 아래 동네에 나타난 두부장수를 발견, 따뜻한 김이 오르는 두부를 훔치려 궁리하는데………. 잇 신(it scene) #친구에게.. 2014.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