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이당385

험하고 어려운 때를 당하면 물 흐르듯 흘러라! - 중수감 주역의 2번째 괘 - 중수감 평평하게 하라 둘째는 초딩 3학년이다. 이제 좀 크자 둘만 집에 있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일요일 점심 무렵 아내가 큰애를 도서관에 데려가는 때면 늘 그렇다. 엄마는 그 사이에 해야 할 숙제를 잔뜩 주고 떠난다. 밀린 글 숙제에 낑낑대는 아빠 옆에서 문제를 풀기도 하고, 장난감을 갖고 딴짓을 할 때도 있다. 혼자 딴짓하는 모습이 안쓰러워 아빠가 이야기도 걸고 장난도 쳐주지만, 아이는 나이 든 아빠와 노는 것이 그리 재밌지만은 않다. 아빠의 감각이 또래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도 잠시, 아빠는 자기 볼 일이 급해서 아이와 깊이 놀아주지도 못한다. 이내 아빠와 노는 것이 시들해지고 만다. 서로 따뜻한 마음이 사라진다. 아마 자기 생각만 하는 것일 게다. 그래서인지 이제 .. 2014. 11. 6.
9시 뉴스 데뷔~ <"나를 바꾸는 공부" 인문학에 빠진 중년> 중년 인문학 돌풍, 그 중심에 그가 있었다!― 강민혁 선생님 뉴스 출연 기념 특별 포스팅!! 2014. 10. 6.
[씨앗문장] 말의 힘 : 내가 하는 말이 나를 만든다. '다른 말'을 하기 위해선 쿵푸를 해야 한다 말의 힘은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으로 크다. 운명의 리듬에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래서 '쿵푸'가 필요하다. 투명하게, 진솔하게 자신을 드러낼 수 있는! 자의식과 원망의 장벽을 벗어나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는!- 고미숙, 『청년백수를 위한 길 위의 인문학 : 임꺽정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116쪽 ‘말의 힘’이라고 하면 보통 남을 설득하거나, 나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하는 것처럼 ‘밖’으로 향해있는 힘만을 떠올리기 쉽다. 그 ‘힘’이 ‘상상하는 이상’으로 ‘큰’ 이유는 단지 밖으로만 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우리가 말을 할 때 그 말을 가장 먼저 듣는 것은 남이 아니라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내가 하는 말의 첫 번째 청자는 바로.. 2014. 9. 24.
[임신톡톡] 남자에게 참 좋은 약을 소개합니다 남자에게 좋은 약 보양식 좋아하면 패가망신 정(精)하면 정력이 바로 떠오른다. 현대인들의 정력에 대한 집착은 대단해서 정력에 좋다면 뭐라도 먹으려는 기세이다. 보양식은 물론이고 보양 관광도 있고 비아그라 같은 발기 촉진제까지 등장하는 판이니 정력은 그 자체로 소비되는 중이다. 더 세고 더 강한 에너자이저 급의 성적 능력을 소유하고 싶은 욕망. 이런 욕망은 어디서 오는 걸까. 한마디로 쾌락을 향한 질주를 멈추지 못한 탓이다. 좋다. 쾌락이 삶의 목표라고 치고 이것저것 보양식을 먹는다고 하자. 그러면 정말 정력이 키워질까. 사람들은 이런 생각의 패턴 자체가 문제라는 건 전혀 자각하지 못한다. 뭐가 문제냐구? 이미 우리는 결핍된 몸을 전제하고 있다. 그래서 부족함을 채우는 것에 골몰한다. 이것이 자본주의의 노.. 2014.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