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43

새해에는 작심삼독! 마음먹고 3권씩 읽어 보아요! 새해에는 작심삼독! 마음먹고 3권씩 읽어 보아요! ‘새해’ 하면 함께 떠오르는 말들로 ‘희망’ ‘해돋이’ ‘복’ ‘소망’… 이런 밝은(?) 단어들이 크게 자리를 잡는 가운데 아마 만만치 않은 무게로 ‘작심삼일’(作心三日)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삼일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이르는 이 말이 ‘새해’와 짝을 이루는 건, 역시 ‘새해’에는 무엇이 되었든 마음을 한번 먹게 만드는 힘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응?) 준비했습니다! 북드라망의 책들로 작심삼일, 아니 작심삼독! 해보시라고요.^^;; 진짜 작심삼독이라는 말이 있는 것은 아니오나, 마음먹고 (한 달에) 3권은 읽어 보자는 뜻을 담아 만들어 보았습니다. 흠흠.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독서량은 1.. 2018. 1. 16.
2018년 북드라망이 준비한, 월간 '덮은 책도 다시보자' 1월 이벤트!! 월간 '덮은 책도 다시보자' 1월 이벤트!고미숙,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빈칸 채우기!! 새해가 밝았습니다. 그리고 북드라망은 고민하였습니다. 올해도 '덮은 책 다시보기'를 해야 할 것인데, 작년처럼 크로스퍼즐을 계속할 것인지 아니면 형식을 좀 바꿀지 말입니다. 고민한 결과! 한번 '바꿔보자'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어쩐지 크로스퍼즐이 좀 부담스럽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문제도 막 20개나 되고, 출력도 하셔야 하고요, 그래서 올해부터는 가뿐하게 풀어볼 수 있는 '빈칸 채우기'로 '덮은 책 다시보기'를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첫번째 책은 고미숙 샘의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입니다. 짜잔~~ 게다가, 이번엔 상품도 있습니다!! ㅎㅎㅎ 시간나실 때 한번씩 풀어보시고, '비밀 댓글'로 정답을 달아주시.. 2018. 1. 15.
육아 아빠의 은밀한 숨구멍이 막힐랑 말랑_아빠 육아 아빠의 은밀한 숨구멍이 막힐랑 말랑 이제 생후 9개월 차에 가까워졌다. 8개월 말호봉이랄까. 요즘 우리 딸은 밤에 자주 깬다. 심한 날은 거의 한두 시간 간격으로, 그나마 좀 괜찮은 날은 자정 전까지 한 시간 간격으로 깨다가 자정 이후에야 자는 것처럼 잔다. 그래서 피곤하다, 몹시 피곤하다. 그러나 물론 아빠의 피로는 엄마에 비할 것은 아니다. 솔직히 아빠는 일단 잠이 들고 난 다음엔 딸이 깨는지도 잘 모른다. 사랑하는 딸의 울음소리를 듣고도 잠 깨지 못하는 스스로에게 자괴감이 들기도 하지만, 정말 잘 모르겠다. 엄마는 깊이 잠든 것 같은데도 딸이 깨면 바로 일어난다. 아빠가 가장 늦게 잠들기 때문에, 이미 잠자리에 든 엄마가 딸이 깰 때마다 같이 깨는 걸 보았다. 아빠는 늦게 잔다. 20살 이후로.. 2018. 1. 12.
채식은 나의 삶, 육식은 나의 문학 채식은 나의 삶, 육식은 나의 문학 카프카는 채식주의자 아셔요? 카프카는 채식주의자였습니다. 얼마나 철저했는지! 베를린으로 이사를 갈 것인지 말 것인지, 노동자 재해 보험공사를 계속 다닐 것인지 그만 둘 것인지를 결정할 때에도 우선은 채식을 계속 할 수 있을 것인가를 따져보았지요. 약혼을 앞둔 펠리체가 요리 실력을 자랑할 때에는 정말 단호했습니다. ‘우리집에서 필요한 것은 고기가 아닐 것이오!’ 폐결핵을 앓을 때에 의사가 육식을 권하자, 과감히 치료를 거부하기도 했지요. 채식은 나의 삶! “아니, 나는 방 하나와 채식 식단만이 필요하며, 그 밖에는 어떤 것도 필요없다!”(일기, 1914년 3월 9일) 카프카가 채식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당시 프라하에서는 자연요법을 표방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2018.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