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0 [동의보감과 요가] ‘기억(memory)’의 두 얼굴 (1) [동의보감과 요가]‘기억(memory)’의 두 얼굴 (1) ‘기억’을 잃어버린 사나이 2008년에 사망한 헨리는 20대 후반까지 간질병을 앓던 환자였다. 헨리는 어린 시절에 시작된 간질 발작이 점점 심해지자 27살이던 1953년 ‘실험적인 뇌 절제 수술’을 받았다. 인간의 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1950년대에는 간질발작에 대한 마지막 치료법으로 뇌의 옆부분을 잘라내는 수술을 받곤했다. 그 환자들 중 하나였던 헨리는 그의 뇌에서 해마 등을 포함한 양쪽 내측두엽 절제술을 받았다. 헨리의 간질 발작은 극적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수술 후 헨리는 오늘이 며칠인지, 아침에 무얼 먹었는지, 바로 몇 분 전에 무슨 대화를 나누었는지 기억하지 못했다. 그의 뇌에서 해마가 없어지면서 그는 새로운 기억을 .. 2019. 8. 8. 나쓰메 소세키, 『명암』 -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결혼의 엉킨 실타래를 풀 수 있을까? 나쓰메 소세키, 『명암』 -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결혼의 엉킨 실타래를 풀 수 있을까? 결혼의 빛과 그림자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누군가는 유행가 가사처럼 ‘눈물의 씨앗’이라고 답할 것이다. 사랑을 갈구하지만 상대방의 마음을 얻지 못해 쓴 맛을 본 사람이라면 그렇게 말할 수 있다. 혹은 사랑은 ‘얄미운 나비인가 봐’라고 말끝을 흐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눈앞에서 팔랑거리는 나비처럼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지만 언젠가는 잡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 사람의 대답이 되겠다. 내게 같은 질문을 묻는다면 ‘사랑은 바닷물’이라고 대답하겠다. 목이 마르다고 바닷물을 마시면 마실수록 더 목이 마르게 된다. 『명암』은 사랑과 결혼을 둘러싸고 소용돌이치는 내면을 보여준다. 『명암』은 소세키가 죽기 직전까지 신.. 2019. 8. 7. 청년, 반양생적 시대를 살다 - 2) 청년, 반양생적 시대를 살다 - 2) 여긴 어디? 나는 누구? 대학교 1학년 때 느꼈던 막막함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고등학교를 벗어나 대학에 간다는 생각에 처음엔 설레기만 했다. 하지만 막상 대학에 들어와 보니 무수한 선택지들이 눈앞에 놓여 있었다. 시간표를 짜는 것부터 막혀버렸다. OT를 하면서 선배들이 수강신청방법을 알려줬지만, 어떤 수업이 학점을 잘 준다더라 하는 단편적인 정보만 가득할 뿐이었다. 어떤 과목을 듣고 싶고, 어떤 공부를 하고 싶은지에 대한 생각은 전혀 없었다. 사실 전공도 수시 경쟁률을 보고서 피상적으로 선택한 것에 불과했다. 내 인생에 중요한 결정인데도 으레 그러거니 하는 길을 따라간 것이다. 그러다 스스로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 닥치자 눈앞이 깜깜해졌다. ‘여긴 어디? 나는 누.. 2019. 8. 6. 다케우치 요시미, 『루쉰』 -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다케우치 요시미, 『루쉰』 -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사는 일'은 대체로 암담한 것을 견디거나, 잊는 일인 경우가 많다. 대체로 즐겁게 살아가는 낙관주의자의 삶도 마찬가지다. 사는 일이 얼마나 힘들었으면 낙관주의자가 되었을까. 아니, 그런 말이 생겨났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지 않을 수 없다. 결국 삶은 어두운 곳에 간신히 불을 밝히는 일이다. 생각해보면 꽤 매력적인 일이다. 내내 밝은 것보다 어둠 걸 밝히는 일이 더 즐거우니까. 다케우치 요시미의 책에는 루쉰이 죽고서야 '청년들은 비로소 자신의 고독을 깨달았다'는 말이 나온다. 그에게는 죽음마저도 어떤 '쓰기'였던 셈이다. 인간의 삶, 죽음마저 포함하고 있는 그 삶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치가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살아가고, 죽는 .. 2019. 8. 5. 이전 1 ··· 358 359 360 361 362 363 364 ··· 8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