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양고전 이야기 ▽214

군자는 어떻게 유배지와 만나는가 왕양명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 슬기로운 유배생활 군자는 어떻게 유배지와 만나는가 何陋軒記 昔孔子欲居九夷 人以為陋 孔子曰君子居之 何陋之有 守仁以罪謫龍塲龍塲 古夷蔡之外 於今為要綏 而習類尚因其故 人皆以予自上國往將陋其地弗能居也 而予處之旬月安而樂之求其所謂甚陋者而莫得 獨其結題鳥言山棲羝服無軒裳宮室之觀文儀揖讓之縟然此猶淳龎質素之遺焉 蓋古之時法制未備則有然矣 不得以為陋也 夫愛憎面背亂白黝丹浚奸窮黠外良而中螫諸夏蓋不免焉若是而彬鬱其容宋甫魯掖折旋矩矱將無為陋乎 夷之人迺不能此其好言惡詈直情率遂則有矣世徒以其言辭物采之眇而陋之吾不謂然也 始予至無室以止居於叢棘之間則鬱也 遷於東峯就石穴而居之又隂以濕 龍塲之民老稚日來視予喜不予陋益予比 予嘗圃於叢棘之右 民謂予之樂之也相與伐木閣之材就其地為軒以居予 予因而翳之以檜竹蒔之以卉藥列堂階辯室奧琴編圖史講誦逰適之道 畧具學士之.. 2021. 8. 13.
『손자병법』-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2) _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저자 손자 손무의 군사 훈련 서양에까지 널리 알려진 손자는 어떤 사람인가. 손자는 손무(孫武)로 제(齊)나라 사람이다. 제나라에는 두 명의 걸출한 병법가가 태어났다. 손무와 손빈(孫臏). 「예문지」에는 『오吳손자병법』과 『제齊손자병법』 두 권을 나란히 기록했는데 『오손자병법』이 현재의 『손자병법』이다. 손무가 한때 오나라에 가서 오나라 왕 합려(闔廬)를 섬긴 적이 있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기 위해 손무를 오손자라고 칭한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 「손자오기열전」에서 손무와 손빈을 모두 소개하는데 손무의 전기는 손무가 오나라에서 군사를 훈련시키는 이야기만으로 간략하게 구성했다. 실제로 손무는 오왕 합려를 도와 노나라를 괴롭혔던 초나라를 공격해 초나라의 수.. 2021. 8. 13.
[내인생의주역시즌2] 소축, 앎에 대한 믿음을 묻다 소축, 앎에 대한 믿음을 묻다 風天 小畜 ䷈ 小畜, 亨, 密雲不雨, 自我西郊. 소축괘는 형통하다. 구름이 빽빽한데 비가 오지 않는 것은 내가 서쪽 교외에서 왔기 때문이다. 初九, 復, 自道, 何其咎? 吉. 초구효, 도를 따라 돌아오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길하다. 九二, 牽復, 吉. 구이효, 연결하여 회복함이니 길하다. 九三, 輿說輻, 夫妻反目. 구삼효, 수레에 바퀴살이 빠진 것이니 부부가 서로 반목하는 것이다. 六四, 有孚, 血去, 惕出, 无咎. 육사효, 진실한 믿음을 다하면 피 흘리는 상황에서 벗어나고 두려움에서 빠져나오니 허물이 없다. 九五, 有孚, 攣如, 富以其鄰. 구오효, 믿음이 있어서 여러 양들을 끌어당겨 함께하니 부유함으로써 그 이웃들을 도와주는 것이다. 上九, 旣雨旣處, 尙德, 載, 婦貞.. 2021. 8. 10.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1) _『손자』라는 책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1) — 『손자』라는 책 병법의 대명사, 『손자병법』 병법책은 한 가지가 아니다. 『손빈병법』, 『오자병법』, 『울료자』(尉繚子, 위료자로도 읽는다),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 이위공이 당 태종의 군사관련 질문에 대답한 책), 『사마법』(司馬法), 『육도』(六韜), 『삼략』(三略) 등등. 이 병법서들은 모두 중요하고 후대에 연구가 적지 않으며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런데 병법서 가운데 『손자병법』이 가장 중요하다. 왜 그럴까. 송나라의 유명한 문인 구양수는, “군사는 끝없음을 기[奇. 기奇는 중요한 개념이다. 후술하기로 한다]로 삼기 때문에 말하는 사람이 많은 게 당연하다”[兵以不窮爲奇, 宜其說者之多. 「손자후서孫子後序」]라고 했다. 끝없이 변하는 기발함을 병.. 2021.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