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3) _ 『한서』 「예문지」의 병서 분류
연재목록 보기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3) 『한서』 「예문지」의 병서 분류 본문의 구성과 내용을 살피기 전에 「예문지」에서 언급한 병서의 분류 방법과 의미를 파악해 『손자병법』의 위치를 가늠하는 일이 우선일 것 같다. 그런 이후에 『손자병법』을 얘기하면 책의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예문지」는 병서를 네 종류로 분류했다. 1) 병권모(兵權謀): 「예문지」의 정의를 보자. “권모는 올바름으로 나라를 지키고, 기이함으로 군사를 부리는 것이다. 계책을 먼저 세우고 전쟁은 그 뒤에 한다. 형세를 겸하고 음양을 포함하며 기교를 쓴다”[權謀者, 以正守國, 以奇用兵, 先計而後戰, 兼形勢, 包陰陽, 用技巧者也.] 권모를 정의하면서 정(正)에 상대되는 기(奇, 기이함..
2021. 8. 27.
[내인생의주역2] 길섶마다 숨어있는 행운을 만나려면
길섶마다 숨어있는 행운을 만나려면 天風 姤 ䷫ 姤, 女壯, 勿用取女 구괘는 여자가 힘이 센 것이니, 그 여자에게 장가들지 말아야 한다. 初六, 繫于金柅, 貞吉, 有攸往, 見凶, 羸豕孚蹢躅. 초육효, 쇠로 된 굄목에 매어 놓으면 바르게 되어 길하고, 나아갈 바를 두면 흉한 일을 당하리라. 힘없는 돼지는 날뛰고 싶은 마음이 가득하다. 九二, 包有魚, 无咎, 不利賓. 구이효, 꾸러미에 물고기가 들어옴은 허물이 없으나 손님에게는 이롭지 않다. 九三, 臀无膚, 其行次且, 厲无大咎. 구삼효, 엉덩이에 살이 없으나 나아가기를 머뭇거리니, 위태롭게 여기면 큰 허물이 없다. 九四, 包无魚, 起凶. 구사효, 꾸러미에 물고기가 없음이니, 흉한 일이 일어날 것이다. 九五, 以杞包瓜, 含章, 有隕自天. 구오효, 구기자나무 잎으..
2021.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