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115

절기력은 음력일까? 양력일까? 절기력을 두고 벌어진, 어떤 내기 얼마 전 이런 얘기를 들었습니다. A와 B가 절기력이 음력인지 양력인지를 두고 술값 내기를 했다고 합니다. (분위기상 한 잔 마시다가 이런 이야기가 나왔겠죠? ^^) 음력이라고 주장한 A와 양력이라고 주장한 B가 팽팽히 맞서게 되었는데요, 두 사람의 자존심을 건 이 대결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여러분은 누가 맞다고 생각하셨나요? 이 내기에서는 A가 술값을 냈다고 합니다. 그런데, A는 술값을 내지 않아도 될 뻔 했습니다. 왜일까요? 오늘 살펴볼 내용이 바로 이것입니다. 두둥! 절기력은 태양을 기준으로 한 달력이다. 그러니까 양력이다. 보통 절기력을 음력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동양의 달력은 음력이고 서양의 달력은 양력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 2013. 10. 30.
[강연회 안내]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를 만나다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출간 기념 강연회 조선 최고의 문장가라 불리는 연암 박지원! 하지만 어떤 면에서 그렇게 불리는지, 읽어봐야~ 그 느낌을 알 수 있겠죠? 그동안 『열하일기』의 두께가 부담스러워 아직 도전을 못 하신 분들, 혹은 읽다가 잠시 멈춘 분들(^^), 혹은 아직 도전 하지 않은 분들 모두모두 걱정마세요. 『열하일기』를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세 번의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1강: 연암 박지원과 『열하일기』 (강사: 고미숙) -2013.10.30(수) 2강: 『열하일기』의 사건과 명문장들 (강사: 김풍기) -2013.11.06(수) 3강: 『열하일기』의 유머와 패러독스 (강사: 길진숙) -2013.11.13(수) 강의는 개별로 신청하셔도 되고, 전체를 신청하셔도 됩니다.참여를 .. 2013. 10. 2.
피카소가 사랑했던 여인, 마리 테레즈를 만나다 무언가를 구경하는 눈은 오로지 결과만을 본다. 기린이 어떤 기후를 좋아하고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지금 이곳에 오게 되었는지를 보지 않고, 그냥 거기 존재하는 기린만을 본다. 마찬가지로 미술관을 찾은 사람들은 그 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그 과정에서 작가가 무슨 생각을 했고, 그걸 본 사람들은 또 무슨 생각을 했는지, 어떤 경로로 작품이 그곳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등등의 과정은 생략한 채, 결과물로서의 작품만을 바라본다. ─채운, 『예술의 달인, 호모 아르텍스』, 164쪽 예전에 퐁피두 미술전에 다녀온 적이 있다. 미술책에서 본 마티스, 샤갈, 피카소처럼 유명한 화가들도 있었고 처음 듣는 화가들의 작품도 많았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때 인상적이었던 몇몇 그림은 "미술책에서 봤던 것보다.. 2013. 9. 3.
[인문학 강의] 올 가을엔 니체를?! 안녕하세요. 오늘은 9월에 개강 예정인 인문학 강좌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인문학에 관심은 있었지만, 어떻게, 어디서, 어떤 수업을 들어야 할지 조금은 막막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우리로 하여금 모든 책을 넘어서게끔 해주지 못하는 책에 무슨 중요한 것이 들어있겠는가? ─니체, 『즐거운 학문』, 책세상, 244쪽 니체의 명랑철학 (굿모닝 인문학 9월의 만남) 강사: 이수영 일정: 2013년 9월 1일~29일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장소: 남산강학원 2층 강의실 1 ☞ 자세한 소개 보러 가기 니체 전집 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일요일 오전을 인문학과 함께 상콤하게 맞이하실 분들은 강의 자세한 소개 보러 가기를 클릭하세요. 대중지성 Q 세.. 2013.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