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76

양생의 시작은 내 몸 들여다보기, 내 마음 다스리기 양생의 시작은마음을 다스리는 것에서부터! 4월 말쯤 몸이 계속 무겁고 속이 답답하여 한의원을 찾아갔다. 한의사 선생님은 내 몸 상태를 아주 구체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셨다. 다른 사람보다 뇌 혈류량이 많아서 밤에 잠을 깊이 못 잘 것이고, 간과 부신이 부어 있어서 피로가 잘 안 풀리지 않느냐고? 또 위가 막혀 있어서 소화도 잘 안되고, 대장이 안 좋아서 대변을 잘 못 보지 않느냐고? 그리고 자궁과 난소에 혹이 있고, 냉증이 심하다고 하셨다. 또 기관지는 선천적으로 좋지 않다고 하셨다. 결국 심장을 제외한 모든 기관이 안 좋다는 것이다. 헉~충격이었다. 그동안 매일 음양탕을 마시고, 108배하고, 산책하고, 낭송도 하고, 매주 산에 다니면서 건강을 돌봤다고 생각했는데, 몸이 그렇게 안 좋은 줄은.. 2016. 7. 21.
과식, 오래 살지 못할 뿐 아니라 자기답게 살지 못하게 된다 자화(自化), 내 몸에 맞는 삶 ❙ 원기 vs 곡기 요즘 여기저기서 살 좀 빼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아닌 게 아니라 요즘 몸을 움직이는 게 무겁다. 작년엔 아침에 108배하고 매일 저녁 남산에 갔었다. 술도 안 먹었고 꽤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절도 안 하고 남산도 안 간다. 그렇다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는 건 아니다. 하지만 작년과 비교해보면 분명 살도 쪘고 움직임도 전보다 적어졌다. 사실 나는 살이 쪄도 90kg에서 멈추고 아무리 빠져도 70kg 이하로는 안 빠진다. 내 키가 175센티 정도 된다. 키보다 어느 정도 살이 있는 상태로 몸무게가 유지된다는 것인데, 그러다 문득 궁금해졌다. 나는 언제부터 이런 몸을 갖게 되었을까? 언제부터 이런 몸으로 살았을까?나는 초등학교 2학년 때.. 2016. 7. 7.
'끝까지 간다?!' 노력이 아니라 양생에 반하는 고집불통! 고집불통에게 필요한 양생법은? ❙ 무너진 자만 올해 5월, 태어나 처음으로 한의원에 갔다. 학기도 끝났겠다 몸을 한 번 점검해보는 게 어떻겠냐는 선생님들의 제안이었다. 얼마나 상태가 안 좋아 보였으면 그런 얘기를 하셨을까. 그런 줄도 모르고 나는 한 번도 못 가본 한의원에 간다는 것에 마냥 기뻤다. 과체중을 몰아내고 표준체중에 한층 가까워진 상태이므로 꽤 건강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다. 감이당에 와서 운동도 하고 몸 공부까지 하고 있는데 괜찮겠지 하는 자신감도 한 몫 했던 것 같다. 그런데 웬걸, 난데없는 이야기를 들었다. “박준오 선수, 아랫도리가 안 좋은데~? 왜 그랬어~.” 의사분이 말씀하시길 내가 몸이 찬 편이라고 했다.(냉증:冷症) 남자가 냉증에 걸리는 것은 쉽지 않다며 양기를 내는 명문화(命門.. 2016. 6. 23.
고난과 장애는 만나라고 있는 것!(응?) 수행하는 데 마(魔)가 없기를 바라지 말라 일주일에 세 번, 인욕정진(忍辱精進)을 하게 되었다. 월수금, 세 번으로 정해져는 있으나 두 번이 될 때도 있고 하…한 번이 될 때도 있다(흠흠). 원래 하려던 것은 인욕정진이 아니고, 스쿼시였는데 내가 하다 보니 인욕정진이 되어 버렸다. 해…해서 본의 아니게 구도의 길에 들어서게 됐다고나 할까;;; 아, 뭐랄까, 지금의 내 심정은…, 절밥 얻어먹으러 갔다가 머리 깎인 기분?(흑) 문제는 뱃살이었다. 사지비만자로만 살 때에는 두꺼운 팔다리가 보기에 거시기해서 그렇지 사는 데 별 불편함은 없었다. 그러나 배가 나오자 문제가 달라졌다. 맞는 옷이 거의 없고, 책상 앞에 앉아만 있는데도 숨쉬기가 거북했다(윗배가 아랫배를 누를 때의 그 압박감이란;;;). 차라리 출산과.. 201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