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이당385

북드라망의 새해 인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편집인 여기 다니카와 슌타로 지음 어딘가 가자고 내가 말한다 어디 갈까 하고 당신이 말한다 여기도 좋을까 하고 내가 말한다 여기라도 좋네 하고 당신이 말한다 얘기하는 동안 해가 지고 여기가 어딘가가 되어간다 감이당과 북드라망의 2011년 마지막 회의 풍경. 1년을 기념하야 불도 밝히고, 빵도 먹었습니다. ^^ 내년에도 애정을 듬뿍 담아~ 지켜봐주세요! +_+ ‘북드라망’이 세상에 책을 내놓은 것은 11월의 일이지만, 2011년이 밝으면서부터 매주 만나서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해왔습니다. 난생 처음 책을 쓰는 저자들도, 새로운 이름의 출판사로 활동할 편집자들도, 씨뿌리는 마음으로 한주 한주 준비를 해갔습니다. 봄여름에 부지런히 일해야 가을에 거둘 것이 있다는 곰샘의 말씀을 따라 일단.. 2011. 12. 30.
[이기론(理氣論)의 주자] 배움을 향한 '무한도전' 주자가 꽉 막힌 사람이라고?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사람을 잡아먹는 가르침”(루쉰), “우주에 가득 찬 엄숙한 기운”(주자학을 접한 한 유학자), “한없이 지루한 학문”(육상산). 동아시아 700년을 좌지우지한 요지부동의 사상, 엄숙주의와 비장함으로 유학자들조차 손사래를 치던 학문, 타도되어야 할 전근대의 표상. 우리에게 각인된 주자(朱子)의 이미지다. 그러나 그는 우리의 예상과 달리 높은 관직에 오른 적이 없다. 그는 여러 번 금주선언을 하지만 실패한 애주가였고 제자들을 그 누구보다도 아끼던 스승이었으며 자식들에 대한 끔찍한 사랑을 보여준 평범한 가장이었다. 그의 삶은 배움을 향한 여정 주자의 이름은 희(熹), 자는 원회(元晦)다. 빛난다는 뜻을 가진 희는 아버지가, 어두움을 뜻하는 원회는 스승이 지.. 2011. 12. 26.
강호의 의림(醫林) - 경락파 vs 본초파 vs 상한파 중국 지리와 역사로 살펴 본 한의학 이론의 형성 김동철(감이당 대중지성) 한의학의 형성과 발전은 중국의 지리와 역사를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한학자 노촌(老村) 이구영(李九榮) 선생님께서는 한의학의 갈래에 대해 흥미로운 말씀을 하신 바 있지요. 중국의 의학은 세 가지 방면으로 발전했는데, 침뜸을 위주로 한 경락학(經絡學)과 약초를 채취해 치료하는 본초학(本草學), 마지막으로 전염병을 치료하는 상한론(傷寒論)이 그것입니다. 경락학의 대표적인 서적은 전편에서 언급한 한의학의 아마존 정글 ‘황제내경(黃帝內經)’입니다. 중국의 시조라 할만한 황제(黃帝) 헌원씨(軒轅氏)와 신하인 기백(岐伯)의 문답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이에 맞서는 본초파의 좌장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분은 세상의 모든 풀을 직접 맛보고 무.. 2011. 12. 20.
한의학 고전의 아마존 정글?! -『황제내경』 정보가 넘치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의학은 진입장벽이 높은 것 같습니다. 직접 하려면 너무 어렵고,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기도 합니다. 북드라망에서는 이러한 벽을 조금씩 낮추고 싶습니다. 그래서 내 몸을 전문가에게만 맡기지 않고, 자신의 몸에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하는 '자기 몸의 연구자'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자기 몸의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알고 싶다는 열정 하나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 그런 의미에서 몸과 우주에 관해 연구했던 거인들을 따라가며 함께 공부하는 코너, '한의학의 고전들'을 마련했습니다. 『동의보감』이 나오기까지 많은 영향을 주었던 『황제내경』을 비롯한 무수한 고전 의학서와 의학서를 쓴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로 찾아뵐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애정, 부탁드립.. 20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