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5 편집자가 읽어주는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① 건강과 지혜 편집자가 읽어주는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01. 건강과 지혜 ― 인문학, 의역학을 만나다 > 여러분들은 책을 읽을때 어떻게 읽으시나요? 눈으로 조용히 글자를 따라가며 읽는 경우가 가장 많겠죠. 하지만 내용이 어려운 철학서나 고전 같은 책들은 눈으로만 읽어서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럴 때 할 수 있는 있는 좋은 공부법이 바로 낭송입니다. 내용을 소리내어 읽는 것은 공부와 신체를 일치시키는 가장 좋은 방편입니다. 내용으로 환원되지 않는 문장의 호흡이나 리듬을 익힐 수도 있지요. 그런 의미에서! 편집자가 직접 책을 읽어드리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북드라망의 유명한(?) 화분 킬러, 편집자 k가 『고미숙의 몸과 인문학』을 한 꼭지씩 읽어드립니다. (다는 아니고 여덟 꼭지만요. 기..대.. 되시.. 2014. 7. 7. [근대소설극장] 삶은 진창이다, 그래도 나는 살 것이다! ― 한설야의 「이녕」 한국근대소설, 등장인물소개로 맛보기 8삶은 진창이다, 그래도 나는 살 것이다! 맛볼 소설 : 한설야, 「이녕」(泥濘; 진창), 『문장』, 1939년 5월 시놉시스 1930년대 ○○ 청년회의 활동으로 4년간의 옥살이를 한 민우는 출감한 지 벌써 반년이나 되어가지만 아직 취직자리를 찾지 못했다. 고만고만한 나이의 아이가 다섯이나 있는 터라 민우의 처는 늘상 민우에게 “살아갈 연구”를 하라고 말을 하고, 아내와 생김도 성격도 판이하게 다른 민우는 이런 아내와 툭하면 이웃 아이들에게 맞고 들어오기 일쑤인 자신의 아이들이 못마땅하기만 하다. 민우에게는 남을 때리기보단 맞는 쪽인 아이들이 늘상 남에게 물쩡해 보이고 어리숙해 보이는 자신과 겹쳐져 볼수록 울분이 쌓이는 것. 한편 보호관찰소에서 민우의 일자리가 논의된다.. 2014. 7. 4. 내 몸의 소리를 관통하라 - 풍지관 내 몸의 소리를 관통하라, 내 몸의 정치학 - 풍지관 지난 주 몸살을 심하게 앓았다. 봄부터 이어져온 피로가 한계치에 도달한 듯 병은 급작스럽게 닥쳤다. 몸은 천근만근 무겁고, 억지로 일어나 걸으려고 하니 무릎이 삐걱거렸다. 허리도 아팠다. 이렇게 잘 움직이지 못하는 신체가 되자, 몸은 침대와의 뜨거운 포옹을 학수고대한 듯 잠이 쏟아졌다. 자고 먹고 싸기만을 한지 삼일 째, 시리던 무릎에 물기가 차오르고 다리에 힘이 붙었다. 식은땀이 흐르던 몸도 온기가 돌면서 순풍이 불었다. ‘격렬한 몸살’로 몸이 한 매듭을 짓고 리셋된 것이다. 이제 내 몸은 예전의 내 몸이 아니다. 가깝게는 올 봄을 마무리 짓고 닥쳐올 여름을 통과할 몸으로, 좀 더 멀리 보면 사십대 후반, 인생 장년기를 통과할 몸으로 리셋된 것이다... 2014. 7. 3. 북드라망 2주년 - 숫자로 보는 북드라망史 창립 2주년 특집숫자로 보는 북드라망 빰빠라밤 빰빰빰빰 빰빠밤!(뭐…뭘까요. 개콘 의 상감이 된 듯한 이 기분;;)이것이 웬 오두방정인가 싶으실 것이옵니다. 하지만 오늘만큼은 한껏 명랑해지고 싶네요. 오늘은 바로 저희 북드라망의 두번째 생일이니까요! 두번째 생일까지 함께해주신 독자님들 정말 감사드립니다!(--)(__)여러분들이 계시기에 저희는 내년에도 세번째 생일을 맞을 수 있을 거라 굳게 믿사오며,몰라도 그만이지만, 알아서 해 될 것 없는 (경우에 따라선 복이 될 수도 있는)‘북드라망 2년사’를 숫자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2 : 창립 2주년!! 1주년 땐 뭐하고 2주년에 이렇게 호들갑이냐고 물으신다면 이렇게 말하겠어요. “2는 1(태극)이 음양으로 분화하면서 생긴 수다. 1이 변화의 씨앗이라면 2(음양.. 2014. 7. 2. 이전 1 ··· 678 679 680 681 682 683 684 ··· 8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