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86

에필로그 : 『한서』, 막힌 삶을 탁 트이게 하는 사이다 역사 에필로그 : 『한서』, 막힌 삶을 탁 트이게 하는 사이다 역사 - 박장금(감이당 연구원) 난 역사학자가 아니다. 그런데 내가 왜 『한서』에 관한 글을 쓰게 된 것일까. 『한서』를 읽기 딱 10년 전, 연구실과 찐하게 접속하면서 난 명리와 동의보감과 인연을 맺었다. 재미나게 공부를 했는데 어느 순간 이 공부가 나의 좁은 시선에 갇힌다는 생각이 들었다. 난 그때 운이 좋게도 『한서』를 만났다. 여기엔 동아시아의 자연철학의 시선으로 운명과 몸을 탐구한 명리와 동의보감의 기원이 고스란히 녹아 있었다. 그 시대야 말로 운명을 적극적으로 탐구한 시대였으며 몸, 삶, 우주, 자연을 관통하는 비전과 함께 인간의 욕망의 문제를 고민했던 시대였다. 『한서』에는 정말 많은 인간들이 등장한다. 등장만도 엄청난데 각각의 캐릭터.. 2021. 7. 1.
『발견, 『한서』라는 역사책』 지은이 인터뷰 『발견, 『한서』라는 역사책』 지은이 인터뷰 1. 이 책은 우리가 잘 몰랐던 『한서』의 가치를 발견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저자 분들이 보는 『한서』의 매력을 얘기해 주세요. 길진숙 : 『한서』는 전한 시대 즉 중국을 두번째로 통일한 한나라의 생사고락을 이야기한 역사책입니다. 『한서』를 집필한 후한 시대의 역사가 반고는 제도나 문화나 업적 중심으로 혹은 사건 중심으로 역사를 기술하지 않습니다. 반고는 역사를 만드는 것은 관계 속에 놓인 인간이요, 마음을 모으는 인간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반고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한나라의 시공을 보여줍니다. 반고는 한나라의 생성과 성장과 쇠락이라는 특정 조건 위에서 200여 년의 시간 동안 명멸해간 인간들의 말과 행위에 주목합니다. 『한서』라는 이 길디.. 2021. 6. 30.
신간 『발견, 『한서』라는 역사책』이 출간되었습니다! 한나라의 역사와 인간군상을 사계절의 변화로 풀어 읽은, 신간 『발견, 『한서』라는 역사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기억하실지 모르겠사오나, 저희가 작년 7월 초에는 사마천의 『사기』를 문학서로 읽기를 시도했던 책 『기록자의 윤리, 역사의 마음을 생각하다: 문학으로서의 『사기』 읽기』를 출간했었는데요, 거의 1년 만인 오늘은 『사기』와 역사서의 투 톱(손흥민, 케인)으로 꼽히는 『한서』를 발견해 낸 책, 『발견, 『한서』라는 역사책』을 소개해 드립니다! 두둥! 사실 투 톱이라고는 하지만, 이것은 근대 이전까지의 이야기고요,;; 근대 이후로는 『사기』가 승승장구 이름을 알린 데 비해 『한서』는 사람이름인가 싶을 정도의 낮은 인지도였습니다. 이렇게 이름도 낯설어진 역사서 『한서』를 .. 2021. 6. 29.
[이우의다락방] 의미 있는 삶이란 무엇일까?『길 위의 철학자, 에릭 호퍼』 의미 있는 삶이란 무엇일까? 에릭 호퍼, 『길 위의 철학자, 에릭 호퍼』 에릭 호퍼의 삶 “나는 도시에서 도시로 이어지는 길로 나서야만 한다. 도시마다 낯설고 새로울 것이다. 도시마다 자기 도시가 최고라며 나에게 기회를 잡으라고 할 것이다. 나는 그 기회들을 하나도 놓치지 않을 것이며, 결코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에릭 호퍼'는 사실 굉장히 생소한 이름이었다. 그는 평생 떠돌이 노동자로 살면서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철학의 틀이나 철학자의 계보를 벗어나 오직 독서만으로 그만의 독특한 사상을 구축하였다! 그래서 이 책을 읽을 때 철학이라는 생각보다는 인생 꿀팁을 알려주는 책을 읽는 기분이 들었다. 그는 강의실이나 교과서에서는 평생 보지 못할 생생한 삶을 보여주고 있.. 2021.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