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796

"군자의 도는 남김없이 드러나되, 은미하다" 費(비)와 隱(은)의 모순 “날아가는 화살은 날지 않는다”라고 했던 제논의 역설을 기억하시는지? 고대 그리스의 제논은 운동이 실재한다면 이런 어이없는 논리적 귀결에 도달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운동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논증하려 했다. “날아가는 화살은 날지 않는다”라는 문장은 논리적으로는 모순율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섯 번째 연재를 읽어보시면 되지만 모르셔도 상관없다. 이 문장이 어이없다고 생각하신다면 이 글을 계속 읽을 수 있는 출발점은 된 것이다. 그래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시라. “날아가는 화살은 날지 않는다”라는 말을 받아들일 수 있으신가? 아마 안 되실 것이다. 그럼 됐다. 그런데 이런 말도 안 되는 문장이 중용(中庸)에 있다. 중용 12장, 첫 구절로 자왈(子曰)이 없.. 2016. 9. 1.
삼국사기에 담긴 천재지변 그리고 하늘의 뜻 너무나 역사적인 사실들: 자연사와 인간사의 함수관계 책을 읽는 묘미는 기대나 예상을 넘어설 때 찾아온다. 책이 주는 신선함, 그 의외성은 잠든 뇌를 깨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자극이 없다면 우리는 관성적으로밖에 사고하지 못한다. 식상한 패턴으로만 뇌가 활동하면 우리의 마음도 신체도 무기력에 빠져 감각의 자극에만 민감해지지 않을까? 감각기관만 비대해지면 더 센 쾌락적 자극을 찾아 헤매다, 끝내 심신은 마비되고 만다. 마비된 뇌를 활성화하고, 뇌의 흐름을 바꾸는 가장 효과적인 활동은 독서라고 생각된다. 그중에서도 역사책은 현재라는 관성 안에 갇힌 뇌의 회로에 다른 길을 내준다. 물론 고도의 집중력과 지루한 시간을 견디는 인내력은 필수이다. 기꺼이 역사책 속으로 뛰어들면 그 유구한 시간의 흔적들 속에서 저마.. 2016. 8. 30.
공자가 말하는 '강함'이란 무엇인가 자로가 강함에 대해 물었다(子路 問强) 자로(子路)는 공자의 제자로 성은 중(仲)이고 이름은 유(由)다. 그 많은 공자 제자 중에서 중용에 언급되어 있는 제자는 단 두 사람인데, 바로 안회와 자로다. 안회가 성인에 버금가는 제자라면, 자로는 무인출신으로 순박하고 강직한 인물이다. 이 두 제자는 모두 공자 보다 일찍 세상을 떴는데, 공자가 71세 되던 해에 안회가 죽고, 그 이듬해에 자로는 위나라에서 괴외의 난을 만나 죽는다. 공자는 자로를 무척 아끼고 신뢰했던 것으로 보인다. 공자는 “나라에 도(道)가 행해지지 않으면 뗏목을 타고 바다로 나아가리니, 아마도 나를 따를 자는 유(由)일 것이다”(「논어』, 공야장)라고 하면서 자로에 대한 믿음을 표하고 있다. 일개 무뢰한이었던 자로는 공자에 의해 학문의 길로.. 2016. 8. 25.
[약선생의 도서관] "상처를 반복하지 않고서 어떤 상처를 돌파할 수 없다" "반복되는 상처가 새로운 삶을 만든다" 주디스 버틀러의 『혐오 발언』 신혼 시절이었을 것이다. 출근은 언제나 그렇듯 지옥철로 움직여야 했다. 다행히도 집과 역이 가까운데다, 갈아타지 않고 회사로 출근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고맙게 생각하고 다녔다. 그러나 자리는 늘 만석이어서 서서 한 시간은 족히 가야했다. 전날 과음이라도 했을라치면 온통 피로에 찌든 몸을 이끌고 문 옆에 기대어 서서 졸며 가기도 했다. 좀 익숙해지자 노약자석 옆이 좀 더 호젓하고 졸기에도 적당한지라 가끔 그곳을 애용하기도 했다. 어느 날 역시나 과음에 찌든 몸을 이끌고 노약자석 벽에 붙어서 출근 중이었다. 내 앞에는 무척 조용하실 것 같은 단아하신 할머니께서 앉아 계셨다. 나이는 꽤 들어 보였지만, 지갑 하나를 두 손으로 포개어 잡고 똑.. 2016.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