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 이야기 ▽765 루쉰 약사 - ‘루쉰’을 만나기 위한 마음의 준비 『루쉰, 길없는 대지』에서 간추린 루쉰 약사 - ‘루쉰’을 만나기 위한 마음의 준비 “벗이 있다 해도 공부를 함께하기란 어렵고, 공부를 함께해도 같은 주제·같은 인물을 탐구하기란 더 어렵고, 같은 주제·같은 인물을 탐구한다고 해도 같은 시절에 여행을 함께하기란 실로 어렵고, 어렵다. 그런데 그 어려운 일을 우리는 해냈지 뭔가! 이 글의 필자들은 지난 20여년간 지식인공동체를 꾸려온 ‘동지들’이다[고미숙(감이당). 채운(규문), 문성환·길진숙·신근영(남산강학원), 이희경(문탁네트워크)]. 우리는 각자의 네트워크에서 각자의 방식대로 루쉰을 공부했으며(이거야말로 기적이다^^), 그러다 2015년 가을 “루쉰의 여정을 밟아 가는 새로운 평전을 써 보자”는 프로젝트에 의기투합했으며…”(고미숙, 「머리말」, 『루쉰.. 2017. 4. 19. 『루쉰, 길없는 대지』- 이벤트 '루쉰 읽는 저녁' & '루쉰의 흔적을 찾아서' 『루쉰, 길없는 대지』 - 이벤트 저자와 함께 '루쉰 읽는 저녁'에 초대합니다 ★ 저자와 함께 하는 '루쉰 읽는 저녁'★- 이벤트 신청 바로가기 (배너를 클릭하시면 이벤트 신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루쉰의 흔적을 찾아서 - 내가 직접 만드는 '루쉰-로드'★ "독자들에게도 우리가 길 위에서 누린 행운과 기쁨이 전해지기를! 아울러 독자들 역시 자기만의 '루쉰-로드'를 만들어 가기를! 또 그 길들이 뻗어 나가 '사통팔달'로 이어지기를!"- 『루쉰, 길없는 대지』 머리말 중에서 그렇습니다. 각자의 루쉰로드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루쉰'과 아무 상관없는 생을 사셨더라도 상관없습니다. ^^ 본래 '의미'란 어떤 계기와 사건을 통해서 만들어지는 법이니까요! 집 안(아니면 생활동선 어디여도.. 2017. 4. 18. 『루쉰 길없는 대지』 저자 인터뷰 2탄 - 나는 루쉰주의자인가?! ※ 『루쉰, 길없는 대지 - 길 위에서 마주친 루쉰의 삶, 루쉰의 글쓰기』 저자 인터뷰를 두 번에 걸쳐 포스팅 합니다. 5가지 질문에 여섯분의 필자 선생님들이 답해 주셨는데요, 내용 및 분량에 따라 나누어서 올립니다. 책도 훌륭하지만, 인터뷰도 의미로 가득 차 있습니다! 부디, 독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인터뷰 1탄을 보시려면 클릭! 『루쉰 길없는 대지』 저자 인터뷰 2탄 - 나는 루쉰주의자인가?!1. 글로 루쉰을 만났을 때와 루쉰이 살았고 공부했고 글을 썼던 장소를 직접 찾아가 만났을 때 차이가 있으셨나요? 어떤 차이를 느끼셨나요? (길진숙) 루쉰의 소설과 잡문을 읽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상하이로 여행을 간 적이 있습니다. 루쉰의 흔적을 찾아 떠난 여행은 아니었는데, 의도치 않게 상하이의 .. 2017. 4. 17. 『루쉰 길없는 대지』 저자 인터뷰 1탄 - 아! 루쉰도 우리와 같은…… ※ 『루쉰, 길없는 대지 - 길 위에서 마주친 루쉰의 삶, 루쉰의 글쓰기』 저자 인터뷰를 두 번에 걸쳐 포스팅 합니다. 5가지 질문에 여섯분의 필자 선생님들이 답해 주셨는데요, 내용 및 분량에 따라 나누어서 올립니다. 책도 훌륭하지만, 인터뷰도 의미로 가득 차 있습니다! 부디, 독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루쉰 길없는 대지』 저자 인터뷰 1탄 - 아! 루쉰도 우리와 같은…… 1. 루쉰이 생애를 보낸 장소에 직접 찾아가 그의 삶과 사상을 추적하는 ‘루쉰프로젝트’는 어떻게 기획되었나요? (고미숙) 2015년 가을쯤인가, 『홍루몽』 로드세미나가 있어서 세미나 멤버들과 『홍루몽』과 관련된 코스를 여행하다가 상하이에 도착했는데, 거기서 루쉰 무덤에 가게 됐죠. 별 생각이 없었는데, 무덤 앞에 서는 순간,.. 2017. 4. 14. 이전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