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 이야기 ▽/북드라망의 책들327

낭송 옛이야기 풀어읽은이 인터뷰 ① - 경기도에서 제주까지! 오늘(3.20.월), 수요일(3.22.수), 두번에 걸쳐 낭송Q 시리즈 민담·설화편 풀어읽은 이 인터뷰를 올립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낭송 경기도의 옛이야기』의 박효숙 님, 『낭송 제주도의 옛이야기』의 박정복 님 인터뷰입니다. [낭송Q 민담·설화편 출간!]풀어 읽은이 인터뷰 ① - 경기에서 제주까지! ▶ 『낭송 경기도의 옛이야기』 풀어 읽은이 인터뷰 1. 옛이야기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것이라 ‘낭송’과 더욱 가까운 것 같습니다. 이번 낭송Q시리즈 민담·설화편은 각 지역별로 옛이야기들이 모아져 있는 것이 특징인데요. 선생님께서 어떤 인연으로 경기도의 옛날이야기들을 풀어 읽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경기도 용인은 저에게 제2의 고향과 같은 곳입니다. 여느 도시인들이 흔히 그러하듯 처음부터 이곳에 정착해.. 2017. 3. 20.
낭송Q시리즈 민담·설화편 출간! 낭송Q시리즈 민담·설화편 출간! 『낭송 경기도의 옛이야기』, 『낭송 경상남도의 옛이야기』, 『낭송 경상북도의 옛이야기』, 『낭송 제주도의 옛이야기』가 출간되었습니다! (나름) 복고와 추억앓이의 (2000년대) 대표 드라마, ‘응답’ 시리즈. 모두들 보셨지요? 일명 ‘응칠’, ‘응사’, ‘응팔’로 불렸던 전 시즌이 다양한 세대에게 골고루 사랑을 받았던, 드문 드라마였는데요. 스토리에 착 달라붙어 있던, 각 타이틀에 해당하는 1997년, 1994년, 1988년의 시대상을 엿볼 수 있었던 철저한 고증이 드라마의 재미를 더해 주기도 하였더랬지요.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제가 꼽는 ‘응답’ 시리즈의 백미는 쉴 새 없이 귓속으로 후비고 들어오는 사투리입니다. ‘염병하네’와 ‘문디’가 백이면 백 가지로 변주되는 사투.. 2017. 3. 17.
정답 없는 인생,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합니다 정답 없는 인생,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합니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최선을 다한 후에 하늘의 뜻을 기다린다는 말이 있지요. 그러나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최선을 다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결과가 삶을 말해 주는 것 같아도 하는 일마다 최선을 다했다면, 최선의 삶을 산 것입니다. 그렇게 살고 있는 자신을 온전히 칭찬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정화 스님, 『너무 잘하려고 하지 마세요』, 270쪽 지금 현재 내 모습이 지난 내 삶의 ‘결과’다. 그러니까, 우리는 매 순간 어떤 결과를 받으며 사는 셈이다. 지금 삶-결과에 만족하는지 잘 모르겠다. 좀 더 멋진 외모나 스타일을 갖고 싶다. 그러자면 어제 밤에 감자칩을 먹지 말았어야 했다. 좀 더 경제적으로 여유로웠으면 좋겠다. 그러자면 지난주.. 2017. 2. 9.
반려동물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할까요? 비의 ‘최고의 선물’은 김태희(응?),우리의 뜻밖의 선물은 고민 반려동물을 키우다 보면 자식처럼 애틋해지게 된다고 하는데, 고양이는 사람을 애달파 하지 않습니다. 나 혼자만 그렇게 애정이 철철 넘칠 뿐이요.(일동 웃음)_(『너무 잘하려고 하지 마세요』, 289쪽) 아, 스님에게 팩트 폭행을 당할 줄이야. 너무 아파서 화가 날 뻔했다. 그렇다, 많이 당해 봤다. 동물은 사람을 그렇게 애달파 하지 않는다. 고민자는 고양이와의 관계로 스님께 질문을 했는데, 내 경우엔 토끼다. 얼마 전부터 함께 살게 된 놈이 영 곁을 내주지 않는다. 나는 차가운 시골 여자, 하지만 내 토끼에게만큼은 따뜻하다. 나는 정말이지 내 안의 상냥함이라는 상냥함(이 희귀한 것을!)은 모두 모아 저에게 쏟아낸다. 나는 저를 위해 맛난 것을.. 2017.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