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 이야기 ▽/북드라망의 책들336 스티븐 제이 굴드의 생명이야기,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옳다』가 출간되었습니다! 스티븐 제이 굴드의 생명이야기,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옳다』가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초고속으로 신간 소개를 해드리게 된 북드라망입니다! 열흘 만에 신간을 내게 된 건, 북드라망 역사상 처음인 듯합니다. 사실은 지난번 소개드린 『낭송 사자소학』과 『사자소학 쓰기책』과 더불어 3권을 한꺼번에 내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우고 여름 내내 열심히 달렸던 건데요, 사정상 이번 책은 살짝 늦게 내게 된 거랍니다. 각설하옵고, 이번 책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북드라망에서 처음 ISBN에 470번이라는 부가기호가 달린 책이옵니다. 이게 무슨 뜻이냐 하면 과학책이라는 얘깁니다.^^ 북드라망의 첫 과학책,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옳다 : 11개의 키워드로 읽는 스티븐 제이 굴드의 생명이야기』가 출간되었습니다!! 짝.. 2018. 8. 27. ‘나’를 밝히는 책, 『낭송 사자소학』 풀어 읽은이 인터뷰 ‘나’를 밝히는 책, 『낭송 사자소학』 풀어 읽은이 인터뷰 1. 『사자소학』은 어떤 책이기에, 낭송을 위한 텍스트 중 『사자소학』을 선택하셨나요?김고은: 『사자소학』은 ‘나’를 밝히는 책입니다. 하지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아 즐겁게 그 일을 합시다!’와 같은 말 대신 내 주변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을지에 대한 이야기만 한가득 실려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자신을 소개할 때 자신이 가진 기호나 성향을 내보입니다. 떡볶이를 좋아하는 나, 레오파드 무늬는 싫어하는 나. 하지만 자신이 맺고 있는 관계로 ‘나’를 설명할 수도 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우리는 이미 SNS에서도 누군가들의 친구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사자소학』에서는 누구와의 관계가 나를 구성하는지, 어떤 사람과는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하는지에 대해.. 2018. 8. 20. 『낭송 사자소학』 + 『사자소학 쓰기책』이 출간되었습니다! 『낭송 사자소학』 + 『사자소학 쓰기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북드라망 신간이 나왔습니다! 북드라망을 대표하는 시리즈지요. 몸에 고전을 새기는 낭송Q시리즈 샛별편의 네 번째 책 『낭송 사자소학』과 『사자소학』을 쓰면서 익힐 수 있는 『사자소학 쓰기책』입니다. 낭송Q시리즈 중에서도 샛별편은 전통시대의 초학자들이 제일 먼저 배우며 가장 오래도록 몸과 마음에 새겼던 문장들을 만나는 편이지요. 『사자소학』 역시 사람이 살아가면서 꼭 익혀야 할 마음가짐과 생활 철학을 네 글자씩 묶어 놓은 것으로, 서당에서 처음 익혔던 책들 중 하나인데요, 『낭송 사자소학』은 이 책을 낭송에 맞게 번역과 체재를 새롭게 하여 낸 책입니다. 문탁네트워크의 김고은, 이수민 선생님께서 풀어 읽어주셨고요. 『사자소학 쓰기.. 2018. 8. 17. 지아장커, 세계의 그늘을 비추는 거울 지은이 인터뷰 『지아장커, 세계의 그늘을 비추는 거울』 지은이 인터뷰 1. 선생님께서는 루쉰으로 박사 논문을 쓰셨고, 얼마 전(2018년 5월) 완간된 『루쉰전집』의 번역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용운에 대한 책을 쓰시기도 했고요. 이런 선생님의 이력으로 보면 동아시아 근대문학 연구에 주력하실 것 같은데, 지아장커의 영화를 주제로 책을 쓰신 것은 좀 의외인 감도 있습니다. 어떤 계기로 지아장커 영화와 접속하셨고, 또 지아장커의 어떤 점에 ‘꽂히셔서’ 책을 쓰시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오랫동안 저는 영화를 여가시간의 소일거리로만 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영화가 지닌 풍부한 텍스트의 힘을 알게 되었고 영화를 통해 여러 가지의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요. 지아장커를 연구하게 된 계기는 책의.. 2018. 6. 7.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