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 이야기 ▽/북드라망의 책들327

카프카와 가족, 아버지의 집에서 낯선 자 되기』 지은이 인터뷰 카프카와 가족, 아버지의 집에서 낯선 자 되기』지은이 인터뷰1. 이 책에서 카프카의 삶과 작품을 통해 가족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 계십니다. 카프카를 ‘가족’이라는 키워드와 연결시켜 생각하시게 된 계기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카프카와 ‘가족’을 연결시키는 것은 참 당연해 보이기도 합니다. 그가 자신의 모든 글은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고 여러 번 말했기 때문입니다. 카프카는 생의 첫번째 계단인 ‘가족’을 절대로 떠날 수 없다고도 이야기했지요. 무엇보다 초기 3부작인 『선고』, 『화부』, 『변신』이 모두 부르주아 가족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카프카가 쓴 미완의 장편 『실종자』, 『소송』, 『성』도 모두 부자관계의 확장판이지요. 주인공들은 모두 아버지라는 지상의 척도로부터 어떻게 고.. 2021. 1. 6.
[북튜브신간] 『카프카와 가족, 아버지의 집에서 낯선 자 되기』가 출간되었습니다! 북튜브 가족특강 시리즈 여섯번째 책『카프카와 가족, 아버지의 집에서 낯선 자 되기』가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인문학강의를 책으로 내는 저희 출판사의 브랜드 ‘북튜브’에서 가족특강 시리즈의 마지막 책, 『카프카와 가족, 아버지의 집에서 낯선 자 되기』가 출간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북튜브 가족특강 시리즈는 다섯 권의 책(『기생충과 가족』, 『루쉰과 가족』, 『안티 오이디푸스와 가족』, 『사기(史記)와 가족』, 『소세키와 가족』)을 통해 근대적 핵가족이 만들어낸 문제들을 돌아보고, 가족의 외부가 어떻게 가능할지를 모색해 왔는데요. 여섯번째 책인 오선민 선생님의 『카프카와 가족』 역시, ‘가족’ 그리고 ‘아버지’라는 주제에 깊이 파고들었던 카프카의 삶과 작품들을 통해 가족이라는 강력한 상.. 2021. 1. 5.
『소세키와 가족, 가족으로부터의 탈주』 지은이 인터뷰 『소세키와 가족, 가족으로부터의 탈주』지은이 인터뷰 1. 근대적 가족의 문제를 나쓰메 소세키를 불러와 이야기하고 계십니다. 특히 나쓰메 소세키가 근대의 문턱에서 고민했던 내용들이 그의 가족사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이야기하고 계신데요. 어떤 점에서 그렇게 볼 수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메이지유신 시대에 태어나 성장하고 죽었습니다. 소세키는 일본 전통사회에서 서구 근대사회로 급격히 탈바꿈되는 그 교차지점을 관통하면서, 근대 이전과 이후의 ‘차이’를 생생하게 목도합니다. 더욱이 영문학을 전공했던 소세키는 최첨단 도시 런던에서 유학생활을 하면서, 그 차이를 더 절감합니다. 그러나 소세키는 어디에서도 자기 정체성을 찾지 못했습니다. 한쪽은 자유가 없었고, 한쪽은 개인들의 경쟁을 부추겼습니다.. 2020. 12. 2.
『소세키와 가족, 가족으로부터의 탈주』가 출간되었습니다! 북튜브 가족특강 시리즈 다섯번째 책 『소세키와 가족, 가족으로부터의 탈주』가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지난 9월 저희가 인문학강의를 책으로 내는 출판브랜드 ‘북튜브’에서 고미숙 선생님의 ‘기생충과 가족’을 필두로 하여 문탁넷 이희경 선생님의 ‘루쉰과 가족’, 남산강학원 신근영 선생님의 ‘안티 오이디푸스와 가족’, 그리고 남산강학원 대표회원이신 문성환 선생님의 ‘사기(史記)와 가족’ 등 네 권의 가족특강 시리즈를 펴냈었는데요, 오늘 그 후속작 신간을 소개해 드립니다. 바로 ‘지혜의 산실’ 의 지산씨, 길진숙 선생님의 『소세키와 가족, 가족으로부터의 탈주』입니다! 어언 100년 전 근대 핵가족의 보편화가 막 시작될 무렵, 결혼과 가족의 모순을 간파하고 가족으로부터의 탈주를 꿈꾼 사람이.. 2020.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