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백수는 고전을 읽는다

한 살 더 먹는다는 것, 삶에서 배운다는 것

by 북드라망 2012. 1. 25.
치열한 삶의 기록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자왈 오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하였고, 마흔 살에 의혹되지 않았고, 쉰 살에 천명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가 순해졌고, 일흔 살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따라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논어』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 가운데 하나다. 다들 한번쯤은 들어왔을 ‘불혹’이니 ‘지천명’이니 하는 말도 다 여기서 비롯됐다. 비록 말뜻은 정확히는 모를지언정 대충 ‘저것이 나이를 대신해서 쓰는 말이구나’ 정도는 다 안다(물론 불혹不惑이 40인지 50인지 惑할 때가 다반사이지만^^). 그만큼 우리 일상 깊숙이 들어와 있는 문장인 셈이다. 허나 그렇다고 해서 꼭(!) 유익하게 다가오는 건 아니다. 이 문장의 유명세 탓에 꽤나 많은 사람들이 우울한 날을 보내야 했으리라. 이유는 간단한다. ‘공자는 열다섯에 배움에 뜻을 뒀다더라. 근데 넌 왜 만날 게임만 하는 거니!’ ‘나이가 계란 한판(30)이다. 언제까지 부모 등쳐먹고 살래?’ ‘불혹인데 인생이 왜 저 모양이야~’ 등등. 공자가 무슨 엄친아라도 되는 양 우리는 마구 비교 당한다. 더구나 이 레퍼토리가 일흔까지 준비되어 있으니 생각만 해도 혈압이 오른다(이런 ‘쿠사리’를 10년 먹다 보면 혹 不惑하게 되는 건 아닐지 심히 걱정마저 된다). 그런데 가만히 문장을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뭔가 좀 다른 맛이 우러나온다. 이 문장으로 공자는 스스로의 삶을 정리하고 있다. 10년마다 자신에게 찾아온 깨달음의 순간. 그 순간을 공자는 담담히 그려낸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이 말을 하고 있는 상황을 좀 떠올려 보자. 그럼 문장의 깊이가 확 달라질 테니까. 우선 공자는 68세에 14년간의 긴 방랑생활을 마치고 고향 노나라로 돌아온다. 고향으로 돌아온 그의 일상은 소박 그 자체다. 제자들을 가르치고『춘추』를 집필하고. 한가롭고 평온한 말년을 떠올리기에 딱 좋은 배치다. 하지만 우리의 예상과는 다르다. 69세엔 아들 백어가 죽고 70세엔 그토록 아끼고 사랑(!)하던 제자 안회가 죽는다. 72세엔 친구처럼 지냈던 제자 자로가 죽는다. 73세에 죽은 공자를 생각하면 말년은 그야말로 이별의 연속이다. 혈육도 생의 대부분을 같이 보낸 친구들도 다 먼저 보내는 70대 노인의 심정을 생각해 보라. 쓸쓸하고 외롭고. 헌데 이 순간 공자는 인생의 마디를 짚어 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말한다. 이제 인생에 거침이 없게 되었노라고! 이쯤 되면 이 문장, 급 궁금해지지 않는가. 공자는 대체 뭘 말하고 싶었는지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열다섯의 지우학(志于學). 지난번에도 말했듯이 공자에게 ‘학’(學)은 자유로운 존재가 되기 위한 비전이자 열정 그 자체다. 그런데 어떻게 공부해야 그 경지에 이를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 하지만 걱정 마시라. 공자의 學에도 분명 구체적인 커리큘럼이 있었으니까. 바로 육예[六藝; 禮樂射御書數]가 그것이다. 육예는 당시 지식인이라면 아니 그 사회에서 한 존재로 인정받기 위해선 반드시 배워야 하는 코스였다.

허나 육예가 아주 실용적인 공부란 점을 잊어선 곤란하다. 그저 책만 열나게 파는 공부가 아니란 말씀! 인간관계의 기본(禮樂)부터 문서작성과 실무능력(書數), 구체적인 기술(射御)까지를 포괄하는 공부가 바로 육예*인 것. 그러니 이 코스를 밟으면 먹고사는 문제의 해결은 물론이거니와 거기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라는 문제까지도 배우게 된다는 말이다. 특정한 분과공부 혹은 특별한 시공간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공부가 아닌 셈이다. 지금 내가 먹고살고 인생에 대해 고민하는 그 현장에서 질문하고 공부하는 것, 그게 學의 핵심이다(‘나이’를 먹어 가는 나로부터 인생에 대해 묻고 깨달음을 얻고 있다는 점에서 이 문장은 學의 기본을 잘 보여 준다. 나도 내가 먹어 가는 나이도 나의 현장이니까!).

* 육예 - 禮樂射御書數(예악사어서수)
禮-생활윤리, 樂-거문고 타기부터 시 짓기까지, 射-활쏘기, 御-말 몰기(운전면허),
書-문서작성, 數-계산, 실무 행정 능력, 세금 출납 관련


그런데 문제는 ‘지’(志)다. 보통 志를 선비[士]의 마음[心]으로 풀이한다. 선비들이 뭔 마음으로 살았는지 당최 알 수 없는 나 같은 무지랭이들에게는 아리송한 풀이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친절한 우리 공자님, 이 志에 관한 아주 멋진 말을 남겨놓으셨다. 잠시 감상해 보자.

子曰 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子罕 25) (자왈 삼군가탈수야 필부불가탈지야)

“삼군의 장수는 빼앗을 수 있어도 필부가 마음먹은 뜻은 뺏을 수 없다.”


여기서 ‘삼군’(三軍)은 나라의 모든 군대를 말하기도 하고 구체적으로는 천자(天子)의 군대를 지칭하는 말이다. 그러니 삼군의 장수라 함은 지금으로 치면 국방부장관쯤 되는 인물인 셈이다. 헌데 수천 혹은 수만의 군사가 둘러싸고 지키는 이 장수는 뺏을 수 있어도 별볼일 없어 보이는 필부(백수?)가 품은 뜻[志] 하나 빼앗을 수 없단다.

즉, 志란 자신이 목숨처럼 여기는 것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그 어떤 무력으로도 굴복시킬 수 없는 것, 자기 존재의 이유와도 같은 것, 그것이 곧 志인 것이다. 공자는 열다섯에 이렇게 선언한다. 배움에 그 뜻[志]을 두겠다고! 배우는 일에 자기 존재를 다 걸겠다고!(부럽기 그지없는 선언이다. 어디다 내 존재를 둬야 할지 모르겠는 우리 같은 백수들에게는 더더욱! 그걸 열다섯에 했다니! 젠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른의 ‘이립’(而立). 열다섯에 學에 뜻을 두고 장장 15년. 공자에게 立의 시간이 찾아온다. 立은 사람[人]이 두 팔을 벌리고 땅[一]에 꼿꼿이 서 있는 모양으로 보인다. 실제로 글자가 생긴 기원도 그렇다(우리는 사람이 팔 벌리고 대(大)로 뻗어있다고 해석하기 좋아하지만^^). 그래서 보통 而立을 자립(自立)이라고 해석한다. 공부에서도 경제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자기 힘으로 설 수 있게 됐다는 의미.

허나 이게 말처럼 쉬운 문제가 아니다. 일단 뭐든 15년 정도 빡시게 할 체력, 우리에겐 극도로 부족하다. 더구나 백수신세들에겐 경제적 자립마저도 만만치 않는 일이다. 서른이 되어도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참 어려운 세상이다. 사회적 관계도 그렇다. 직장이나 학교에서 주어지는 관계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뿐 스스로가 주도해서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그럼 어떻게 하면 돈과 공부와 사회적 관계에서 수동적이지 않고 의존적이지 않은 배치를 만들 수 있는가.

내 경우엔 일단 집을 뛰쳐나왔다. 스물아홉 살이 되어서야 비로소 집에서 독립하긴 했지만 뭐 어찌되었건 독립은 이뤄냈다. 돈이 많아서 그랬냐고? 아니다. 백수 주제에 돈은 무슨 돈. 집을 나와서도 살 수 있었던 이유는 적은 돈으로 주거공간의 의존성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면 부모의 근심걱정도 반으로 준다. 사실 집구석에서 백수로 호떡놀이*하고 있으면 부모 울화통이 터진다. 그럼 그 돈은 어디서 마련 하냐고? 스승들에게서 배운 걸로 아이들을 가르치며 생활비를 번다. 물론 한 달 생활하고 나면 통장 잔고는 반드시(!) 천원 단위다. 하지만 부모에겐 더 이상 손을 벌리지 않는다.(생존의 위협을 받지 않는 한^^) 부모님도 내가 근근이 살아가는 걸 알지만 어떻게든 살아가니까 이제 돈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부모로부터의 경제적 자립! 부모도 나로부터의 경제적 자립! 그럼 사회적으로는? 이건 좀 대답하기 곤란하다. 직장도 학교도 없는 내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장이 얼마나 있겠나. 대신 난 고딩 때부터 친구였던 녀석들과 세미나를 시작했다. 만나면 만날 술만 먹던 놈들과 공부를 시작하면서 예전과는 다른 친구관계를 맺어 나가기 시작한 것. 새로운 관계가 아니라 내가 가진 관계를 다른 관계로 만들 수 있는 것 또한 자립이 아닐는지.

마지막으로 공부. 이건 아직 15년을 해보지 않아서 당당히 말할 수 있다. 아직 잘 안 된다고^^ 따지고 보면 아직 자립중인 셈이다. 그래서 난 공자의 而立을 자신의 삶에 당당한 주인이 되었다는 선언이라기보다 주인이 되겠다는 청년의 떳떳한 호기(豪氣)라고도 해석하고 싶다.

* 호떡놀이 백수전용 방구석 나뒹굴기 신공!
누가 와서 뒤집어줘야 겨우 앞뒤로 돌아눕는 무기력증의 결정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흔의 不惑. 서른에 필 받아서 좀 길어졌다. 이해하시길. 서른부터 자립하기 시작하여 10년. 불혹은 그 자립의 길을 의혹하지 않는 마음이다. 자기 길이라고 믿고 온 길을 다시 쏜살같이 앞으로 밀고나가는 마음이라고나 할까^^ 맹자는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불혹, 즉 부동심(不動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어떤 조건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자기 길을 갈 수 있는 것.

그러나 실제로 이 나이가 되면 유혹이 엄청나다(마치 살아 본 것처럼 이야기한다^^). 생각해 보시라. 25년 동안 죽어라 한 우물을 파면서 스스로 서고자 했는데 잘 되는 일도 없고 인생은 고만고만할 때 얼마나 혹시나[惑] 하는 마음이 들겠는가. 아! 그때 다른 길을 선택했더라면 하는 후회의 감정이 물밀 듯이 밀려오지 않겠는가. 공자도 아마 그러했으리라. 열나게 공부했는데 세상이 자기를 철저히 외면했으니.

하지만 공자는 자기 길을 의심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말하는 세상 편히 사는 방법을 철저히 외면하면서 간다. 말이야 그렇지만 여기에 얼마나 많은 갈등과 번뇌가 같이 있었겠는가. 아는 것도 있겠다, 사회적 명성도 좀 있겠다, 그냥저냥 세상과 타협하고 살라는 주위의 목소리도 들리겠다. 충분히 惑할 만도 하다. 그런 점에서 불혹이나 부동심 모두 평온한 마음이 절대 아니다. 오히려 온갖 유혹과 욕망이 서로 뒤섞이는 시끄러운 마음, 그러나 결코 자기중심은 잃지 않는 마음이다(갑자기 마흔이 두려워지기 시작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쉰의 지천명(知天命). 不惑까지는 뭔가 세상과 대결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세상에 내가 설 땅을 만들어야 하고(而立) 그 땅을 가짐으로서 생기는 온갖 욕망들 속에서 중심을 놓지 않겠다고 마음먹고(不惑). 그런데 쉰은 좀 다르다. 사회와 나에 사로잡혀 있던 시야는 자연과 우주적 차원으로 넓어진다. ‘천명(天命)을 알았도다.’(어감도 이전 것들과는 다르게 뽀대 난다^^) 그럼 도대체 天命은 뭐란 말인가. 단순히 하늘의 명을 알았다고 하면 뭔 말인지 아무도 모른다.

일단 天은 우리가 생각하는 하나님이나 옥황상제 등등의 신이 아니다. 공자에게 天은 자연이 운행하는 법칙, 이 세계가 돌아가는 원리 그 자체다.(이거 좀 어렵다^^) 그러니 天命을 알았다는 건 무슨 계시를 받았다거나 신의 목소리를 들었다는 의미가 아니다. 우주가 운행되는 법칙 속에서 ‘내’가 어떤 존재인지 알았다는 의미다. 또 “공자가 나이 쉰에 천명, 또는 하늘이 그를 위해 정해놓은 것을 이해했다고 말했을 때, 이 말은 자기가 통제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와 아울러 자신의 자주적 행동의 진정한 영역을 분명하게 이해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나’라는 존재의 우주적 분수(!)를 알겠다는 고백이라고 할까. 모든 걸 다 할 수 있을 것처럼 사회적 현실과 맞짱 뜨던 ‘나’도 나의 길이라고 믿던 것도 사실 우주적 법칙[天理]이 만든 하나의 길이었음을 자각한 것일까. 어찌됐든 공자는 知天命의 순간, 그동안의 ‘나’를 비워내고 천리(天理) 속에서 다시 삶을 사유하기 시작한다.

* 인용 - 벤자민 슈워츠,『중국고대사상의 세계』, 살림, p.196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육십의 이순(耳順). 天命을 알고 다시 10년. 공자는 귀가 순해졌다고 말한다. 주희는 이 구절을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하게 되었다’고 해석한다. 듣는 것만으로 모든 걸 이해하게 되는 경지에 들어섰다는 것. 사실 이게 어떤 경지인지는 영~ 감이 오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차라리 귀가 순해진 게 아니라 노환으로 귀가 어두워진 게 아니냐는 얼토당토않은 해석에 더 끌리기도 한다.^^ 그러나 공자에게 耳順은 분명 들리는 그대로를 편견 없이 들을 수 있는 귀가 열린 순간처럼 보인다.

54세에 고향을 떠나 천하를 떠도는 공자. 이런 공자를 바라보는 당대 지식인들의 시선은 냉소 그 자체다. 오죽했으면 이 시기 공자를 두고 ‘상갓집 개’같다고 말했겠는가. 하지만 공자는 그들의 비판에도 화를 내거나 격앙된 감정으로 대응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말이 맞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이며 빙그레 웃는다.(사마천의『사기』「공자세가」)

이건 또 뭔가 싶지만 天命을 깨닫고 ‘나’도 우주적 배치의 산물임을 이해한 공자라면 충분히 그렇게 할 수 있었으리라. 한번 원리를 깨우친 자라면 그 원리 위에서 만들어진 말도 그대로 이해되는 건 당연한 법. 그러나 ‘나는 들으면 다 알아!’라는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한 耳順을 이제야 세상의 말에 귀 기울일 준비가 되었다는 고백으로 해석하고도 싶다. 왜냐하면 언제 어디서나 배우기를 좋아했다는 공자라면 세상의 말이 거침없이 받아들여지는 순간 더 공부하고 싶다는 욕구에 불탔을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흔의 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 不踰矩). 자신이 가고자 하는 길로 가도 법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제 공자 인생의 대단원이 펼쳐진다(공자가 팔십, 구십까지 살았더라면 머리털이 숭숭 다 빠질 뻔했다^^). 여기서 한 가지 알아둬야 할 건 법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그 ‘법’(法)과는 다르다는 것. 공자가 말하는 법이란 하늘이 정한 길[天道]이자 사람이 걸어갈 길[人道]을 의미한다. 知天命의 순간 깨달은 天의 길과 사람들 속에서 살아가며 터득한 人의 길. 그 사이를 좌충우돌하며 걸어온 공자. 그는 이제 人道를 마음대로 걸어도 天道에 어긋나지 않고 天道를 지극히 따라도 人道를 벗어나지 않는 경지에 도달했다고 선언한다. 더 이상 天道니 人道니 따질 필요도 없는 상태. 그것이 더 이상 내 삶의 발목을 잡는 문제가 되지 않는 상태. 인간적으로 가장 큰 슬픔에 휩싸였을 인생 말년, 공자는 말한다. 나는 자유로워졌노라고! 그리고 일흔셋의 어느 여름날 조용히 눈을 감는다.

스스로 서기 위해 15년을 항심(恒心)으로 공부하고 그 공부로 서서 십년을 사니 삶에 힘이 붙고 그 힘으로 온갖 유혹을 뿌리치고 갈 길을 가고 그렇게 또 십년을 살았더니 내 인생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알겠고 그 뜻으로 또 십년을 사니 세상을 긍정할 힘이 생기고 결국엔 어떤 제약도 없는 삶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공자 자신의 자서전과도 같은 문장. 그건 단순히 한 노인이 자기 삶을 한번 되돌아보는 넋두리가 아니다. 삶의 문턱들을 피하지 않고 온몸으로 통과해 온 치열한 삶의 기록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