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철학34

[월간 이수영] 헤겔의 절대정신이란 무엇인가? 글공방 나루에서 펼쳐지는 고품격 철학 수다! 한 달에 한 번 진행되는 을 여기 북드라망에서 다시 만납니다. 『니체 강의 : 전복의 사유와 변신의 기술』의 저자 이수영 선생님을 따라 “함께 하는 것만으로 상위 1%가 돼버리는 초(超)지성의 장”에 여러분들을 초대하려고 합니다! 글공방 나루의 강의 소개에 의하면 “무슨 말인지 모를 수 있지만 재미있고 지루하지 않다고 하는데요” 앞으로의 연재를 기대해주세요! 헤겔의 절대정신이란 무엇인가? 월간 이수영 2022년 9월호 우리는 헤겔의 ‘절대정신’에서 신이 가진 것과 같은 초월성이나 전체성을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헤겔이 말하는 절대정신은 절대반지처럼 완벽하고 무진장한 인식 능력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깝습니다. 절대정신은 인간의 감각에는.. 2023. 8. 8.
문탁네트워크 2023 <철학학교> 인터뷰: 철학行 버스카드 빌려드려요 문탁네트워크, 2023 인터뷰 : 철학行 버스카드 빌려드려요 3년 전, 동양고전이 강세였던 에 등장한 는 서양 철학을 차근차근 뜯어보고 음미해보는 일 년짜리 프로그램이다. 2021년에 철학사와 하이데거의 , 2022년에 들뢰즈의 철학을 들여다봤다면 2023년에는 프로그램을 조금 더 다층화해서 17세기 철학을 다루는 와 철학사만 본격적으로 파보는 으로 나눠었다. 그중 의 튜터와 반장은 작년에 이어서 올해에도 정군쌤과 요요쌤이 맡으셨다. 두 분은 자타공인 공부 덕후다. 둘 중 한 명만 세미나원으로 있어도 세미나의 분위기가 사뭇 달라질 수 있는데 두 사람이 한 프로그램에서 반장과 튜터를 모두 맡고 있다니, 이 둘을 한 번에 인터뷰할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다. 철학 공부는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실까? 왜 지금 .. 2023. 1. 31.
인문학 공부의 맥락을 잡는 ‘WHY & HOW’ 인문학 입문 강의 인문학 공부의 맥락을 잡는 ‘WHY & HOW’ 인문학 입문 강의 인문학! 왜 공부해야 할까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인문학 공부를 위한 동기부여부터 공부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Tip까지, 북드라망과 북튜브 출판사가 준비한 ‘Why & How 인문학 입문 강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자동차의 성능이 아무리 좋더라도 운전하는 사람의 정신이 혼미하다면, 그 차는 제대로 달릴 수 없겠지요?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몸이 건강하고 살림살이가 넉넉하더라도 공부하고 성찰하지 않으면서 좋은 삶을 살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많은 지혜로운 이들이 고전을 읽고 인문학을 공부해야 한다고 힘써 이야기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겠지요. 하지만 막상 인문학을 공부하겠다는 마음을 먹어도 무엇을 공부해야 할지, 어떻.. 2023. 1. 30.
『중용』: "하늘이 만물에게 부여해 준 것을 성(性)이라 한다." 天命之謂性(천명지위성)의 용법 몇 년 전에 스피노자의 『윤리학』 세미나를 하는데, 중년의 남성분이 참여하셨다. 스피노자가 기하학적 증명의 방법으로 자신의 철학을 펼친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 정도면 신뢰할 만 하다고 세미나에 참여하신다는 분이었다. 근데 이 분이 『윤리학』 1부 초반에서 소위 멘붕에 빠지셨다. 『윤리학』의 증명방식에 동의할 수 없다는 게 이유였다. 『윤리학』은 공리와 정의를 제시하고, 정리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그 선생님왈, 최초의 공리와 정의 역시 임의적인 것은 신학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그 문제에 대해 여러 토론이 있었지만, 그 분은 영 개운치 않으신지 더 이상 세미나에 나오지 않으셨다. 17세기 유럽에서 데카르트와 스피노자는 신의 존재 증명을 시도했다. 두 사람 모두 기존의 철학과 .. 2016.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