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42

우연과 필연을 넘어서 '풍성한 생명'을 꿈꾸다! 라마르크의 부활을 꿈꾸며 정철현(남산강학원 Q&?) 라마르크에 대한 추억 중학교 때 배운 진화론에는 용불용설, 의지설, 자연선택설 등이 있었다. 나는 그 중 용불용설과 의지설을 가장 좋아했다. 생명체의 의지나 노력으로, 자신이 원하는 대로 신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하는 기막힌 이야기. 이 이론은 나를 매료시켰다. 또 만화책에서 기린 이야기를 읽고 나는 확신했다. 기린이 목을 길게 하려는 노력 끝에(용불용用不用), 목을 길게 만들 수 있었다고 말이다. 기린이 키가 큰 나무를 뜯어먹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장면은 애처로웠지만 그래도 기린을 응원했다. 결국 목이 길어진 기린은 의기양양하게 나뭇잎을 뜯어 먹고 있었다! 나는 바로 이런 게 진화라고 생각했다. 이것이 나와 라마르크와의 첫만남이었다. (^.^) 그 후.. 2012. 8. 8.
폭염, 보고있나? 이제 입추라구~~ 입추, 가을에게 성숙(成熟)을 묻다 송혜경(감이당 대중지성) “넌 나이에 비해 참 성숙하다!”라는 감탄은 요즘엔 ‘욕’이다. 불현듯 ‘동안'신드롬이 나타났고 우리는 그 언어가 만들어 놓은 성에 잠식당해버렸다. 물론 예전에도 어르신들에게 ‘회춘하셨다’는 말을 드리면 좋아하시긴 하셨지만, 그 말을 해드릴 수 있는 나이는 어느 정도 한정되어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고등학교 애들마저도 자기 학년보다 높게 혹은 낮게 불리는 것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정도다. 고1이나 고2나 그게 그거지 싶은데 아이들한테는 또래에 비해 성숙해 보이는 게 몹시 불유쾌한 일인가보다. 그래서인지 다들 목소리에 어리광이 가득하다. 원래 목소리는 어딘가에 'keep'해놨다가 엄마랑 전화할 때만 드러난다.ㅋ 애들만 그런가? 나이를 불문하고 우리.. 2012. 8. 7.
생명체 지구의 또 다른 이름, 가이아 가이아, 생명을 다시 묻다 박영대(남산강학원 Q&?) 지구가 살아있다? 무더운 날씨에 장마까지 겹쳐 연일 후텁지근하다. 이런 날에는 조금만 움직여도 온통 땀에 젖는다. 땀은 체온이 상승하면 교감신경에서 분비된다.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 표면을 냉각시켜 체온이 떨어지는 것이다. 땀은 유기체가 자신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이다. 지구도 같은 노력을 한다. 여러 생물들을 통해 지구의 기후는 지난 38억년간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되었다. 그렇다면 이것은 지구‘가’ 자신의 온도를 조절하려는 노력일까. 대부분 아니라고 한다. 우리는 생물이지만 지구는 무생물이다. 따라서 지구는 스스로 회복하려는 노력을 할 수 없다.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동일한 현상을 놓고 서로 다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건 이해 이전에 .. 2012. 7. 25.
시시하지 않은 삶, 근사함을 뛰어 넘는 삶 설거지, 청소, 빨래의 길道 - 기관 없는 신체와 욕망 - 김해완(남산강학원 Q&?) 기관 없는 신체(CsO)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명한 개념 중에 ‘기관 없는 신체’라는 것이 있다. (Corps sans Organe, 줄여서 CsO다) 험악한 네이밍 센스 때문에 이 개념은 많은 오해를 불러왔다. 이제는 몸에 붙은 기관까지 뽑아 버릴라고? 실제로 이 고원에서는 몸을 찢고 뜯고 꿰매는 마조히스트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나 오해하지 말자. 이 고원은 도발적이지 않고 오히려 아주 신중한 고원이다. 저자들이 겨냥하는 것은 마조히즘이 아니라 그들의 신체 위에서 흘러 다니는, ‘탈기관화 하려는 욕망’이므로. 한번 이렇게 물어보자. 내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어디일까? 뇌? 심장? 척추? 아니면 잘 빠진 S라인 가슴.. 2012.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