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1270 이간혈, 다래끼와 입냄새의 역습을 막아라 과식과 평안함 사이, 이간(二間)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눈으로 먹는다 금요일이에요. 칼퇴와 함께 FAD(Friday Alcohol Delicious)를 외치며 삼겹살에 소주를 들이켜요. 2차로는 치킨과 맥주를 퍼부어요. 3차로 자리를 옮겨요. 순간, 내일 친구들과 갈비를 먹기로 한 것이 떠올라요. 갈비를 뜯기 위해선 기력을 조금 남겨둬야 할 거 같아서 3차는 자제하기로 해요. 혼자 몰래 자리를 빠져나와 집으로 향해요. 그런데 얼마 못 가서 왠지 모를 허기가 엄습해 와요. 안되겠어요. 입가심으로 라면이라도 하나 끓여먹어야겠어요. 라면을 먹다보니 밥생각이 간절해져요. 밥을 한 대접 말아먹어요. 아, 이제야 좀 행복해져요. 졸음이 몰려와요. 기절해요. 다음날이에요. 생전 보지 못한 얼굴이 거울 앞에 등장해요.. 2012. 6. 8. 우리들은 태양의 아들이다 누가 해님과 달님을 짝지었을까 손영달(남산강학원 Q&?) 우주가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바야흐로 우주여행의 시대 개막을 목전에 두고 있다. 우주 결혼, 우주 황혼식, 우주 보험 등 우주는 목하(目下) 상품이 되어 팔릴 준비를 하고 있다. SF 영화에 나올 법한 일들이 빛의 속도로 현실이 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몇 해 전 개봉한 영화 아바타는 이런 우리의 현 주소를 여실히 보여 주는 작품이다. 자원 고갈에 허덕이던 인류가 우주로 떠나는 이야기. 지금 우리 모습이 딱 이렇지 않을까? 두 세기 전 신대륙에서의 골드러시가 다시 한번 시원하게 터져주시길 바라며, 세계의 갑부들과 기업은 우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머지않아 별이란 말은 우주 광석이 가득한 자원의 보고라는 뜻으로 통용될지 모를 일이다. 우주의 가치가.. 2012. 6. 7. 망종, 씨앗이 되는 법 망종, ‘리환궁’으로의 초대 송혜경(감이당 대중지성) 리환궁, 정점의 다른 이름 핫! 시작부터 만만치 않다. 리환궁(泥丸宮)? 듣도 보도 못했다. ‘궁’자가 들어가니 경복궁, 창경궁 같은 궁궐이라고만 짐작할 뿐. 장하다. 1/3은 맞춘 거다.^^ ‘리환’이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의 니르바나 즉 열반을 의미한다. 유불도 삼교에서 ‘하늘의 중심’이라고 말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기에 옥황상제님의 처소라고 말한다. 그 궁전은 약초들이 빽빽하게 널려 자라고 있고 사람의 발자취가 닿지 않은 평탄한 공간이 높다랗게 걸려있는 아름다운 풍경이라고. 헌데 단청 입힌 궁궐의 내부는 텅 비었고 그 안에는 지극히 신령한 신(神)이 끊임없이 모여든다고 한다.* 이렇게 기묘하고 썰렁한 궁궐이라니. 불로장생이 목표인 도교에서는 리환궁에.. 2012. 6. 5. 현실정치와 또 다른 정치 가장 ‘정치적인’ 곳 - 미시정치와 내 안의 파시즘- 김해완(남산강학원 Q&?) 클릭, 정치라인(線) 주민등록번호 13자리 하사받은 지 어연 스무 해. 드디어 18대 대통령을 뽑는 신성한(?) 투표권을 가질 자격이 생겼다. 하지만 나는 요새 신문을 볼 때마다 큰 혼란에 빠진다. 정치인 이름도 잘 모르고, 정치적 발언의 어디까지를 믿고 또 버려야 하는지도 모른다. NL이니 PD니 하는 단어부터가 외국어인지라 머리 긁적이다가 급기야는 친구들과 공부에 들어갔다. (경기동부연합이 뭐임? 아니 근데 왜 같은 편끼리 싸우는 거야?? 몰라...) 보다시피 우리는 현실정치에 미숙하고 또 무식하다. 정녕 젊은 것들은 이래서 안 된다는 잔소리를 인정해야만 하는 것인가(ㅠㅠ). 철 지난 유행어 “공부하세요”가 갑자기 가슴에.. 2012. 6. 5. 이전 1 ··· 279 280 281 282 283 284 285 ··· 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