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53

본성과 성격은 다르다? 생긴대로 산다는 것! 『닥터K의 마음문제 상담소』를 읽다 보니 태음인의 사례를 읽을 때면 꼭 제 얘기 같아서 뜨끔하더라구요. 실제로도 선생님을 인터뷰하러 갔을 때 제가 태음인이라는 판정(!)을 받기도 했었는데요, 문득 왜 책에는 유독 태양인은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가~ 궁금해졌습니다. 그리고 태양인이 왠지 강해보이고 좋아보여서 노력하면 태양인으로 바뀔 수 있을까 이런 것도 궁금했지요. 선생님을 만나 여쭈어 봤습니다. 함께 보시죠! Q. 책을 읽다보면 태음인의 사례는 많지만, 태양인은 나오지 않던데요~ 태양인은 상담을 잘 받지 않는 건가요?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태양인은 인구 비율 자체가 적습니다. 이제마 선생도 인구 만 명당 두 명 내지 세 명, 많아야 네 다섯 명 정도라고 얘기하고 있거든요. 이는 백.. 2012. 11. 2.
삶의 비전서로 다시 읽는 『동의보감』의 귀환! 고미숙 선생님의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가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새로운 표지와 든든한 무게감! 게다가 양생을 위한 '선현들의 격언'까지 포함되어 있지요.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와 짝꿍이기도 합니다. 몸 공부로 시작해서 운명 공부로 이어지는 코스도, 운명 공부에서 몸 공부로 이어지는 코스도 어떤 것을 선택하든 여러분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어느 쪽에서 시작해도 만나게 되는 이 운명! 병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하다. 거기에는 몸과 생명, 그리고 자연과 우주가 생생하게 살아 숨쉰다. 하여, 그것과 접속하는 순간, 앎의 모든 경계는 해체되고 만다. 『동의보감』을 만나고 내게 벌어진 최고의 사건은 바로 그것이었다. 천문학과 물리학, 불교와 인류학, 고대 그리스철학과 생물학 등 이 모든 .. 2012. 10. 31.
마음으로 본다는 것 - 제이의 가을소풍 가을 소풍 - 가을엔 어떤 느낌이 들어? - 고요한 느낌… 나뭇잎이 떨어지는 것 같은… 이제는 다 내려놓아도 될 것 같은… - 허… 도통하셨네 - 엉? 도통하는 게 뭔데? 그렇다. 이번 가을에도 제이는 연애에 대한 집념을 내려놓을 수가 없기 때문에 도통하기는 힘들 것 같다. 여튼, 가을이다.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찌는 계절. 오곡이 풍성한 결실의 계절. 우리가 다니는 길의 가로수 은행나무가 황금빛으로 장엄하다. 거리의 과일가게에 얼마 전까지 포도가 한창이더니 지금은 홍시, 대추, 밤이 좌판 가득 쌓여 있다. 제이도 오늘 집에서 점심으로 홍시를 먹고 나왔다고 한다. 맨날 똑같은 밥 먹는 게 지겨울 때가 있다. 그럴 때 계절의 별미로 입맛을 돋우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런데 제이는 홍시를 어떻게 먹을까? 말랑말.. 2012. 10. 29.
연금, 보험, 저축을 능가하는 노후대비'책' '두통에는 진통제', '우울증엔 항우울제', '불면증엔 수면제'라는 것이 공식처럼 각인되고 있다. 그러나 시댁과 갈등을 겪는 전업주부의 두통과 학습우울증에 걸린 청소년의 두통이 과연 같은 질병일까. 또 시댁과 갈등을 겪는 주부에게 어깨 결림, 두통, 불면증, 소화불량, 생리통이 동시에 나타났다면, 이는 각각 정형외과, 신경과, 정신과, 내과, 산부인과에서 따로 해결해야 할 병일까. ─강용혁, 『닥터K의 마음문제 상담소』, 12쪽 예전에 손발이 너무 저려서 자다가 깬 적이 있습니다. 늘 손이 차가웠고, 발도 마찬가지였죠. 가끔 찾아 오는 두통이 올 때마다 두통약을 먹었습니다. 너무 아픈데, 병원에 갔더니 '스트레스'랍니다. 네, 스트레스죠. 그런데 그때는 그 스트레스가 무엇때문인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2012.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