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592

[근대소설극장] “내 한몸 없어졌다고 누가 코나 찡그리겠는가" 한국근대소설, 등장인물소개로 맛보기 ③ 맛볼 소설 : 최서해, 「전아사」(餞迓辭), 동광(東光), 1927년 1월호 *전아사: 작별하고 맞으며 새로 하는 말 시놉시스 1926년 겨울이 시작될 무렵, 주인공 변기운은 외사촌이지만 친형처럼 지내왔던 인갑 형님께 자신이 고향을 떠나 서울에 올라오게 된 사연을 담은 편지를 쓴다. 인갑 형님은 똑똑했던 동생이 서울에서 구두닦이를 하며 어렵게 지내는 것을 알고 나서, 본인도 찢어지게 가난한 형편임에도 기운에게 고향으로 돌아오라며 어렵게 여비를 마련해 돈과 함께 편지를 보내왔고, 이 편지에 대한 답장으로 기운이 쓰는 편지다. 면소 서기로 근무하던 변기운이 극진히 모시던 홀어머니마저 버리고 떠났던 속내와 5년간의 팍팍한 서울살이에서 겪은 일들을 이 편지에 풀어 놓는데….. 2014. 4. 11.
내강외유의 힘을 보여주는 여군주의 괘, 화천대유 내강외유의 힘을 보여주는 여군주의 괘, 화천대유 외강내유라는 말이 있다. 겉으로는 단단해 보이는데 안은 부드럽다는 의미로 풀이하기도 하고, 겉모습은 강해보이는데 속은 여리다 혹은 약하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내강외유는 이 반대의 경우다. 그런데 외강내유건, 내강외유건 겉과 속이 다르다는, 반전이 있다. 특히 '내강외유'라는 표현은 여성 리더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표현인 것 같은데, 선덕여왕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선덕여왕에게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당태종이 선덕여왕에게 꽃 그림과 씨앗을 선물한 이야기는 한번쯤 들어보셨으리라. 선덕여왕은 처음 보는 꽃 그림을 보고, 이 꽃은 피어도 향기가 없을 것이라며 당태종의 의도를 간파했다. 모란과 장미의 겉모습은 무척 닮았다. 그래서 신하들은 설마 그럴리가요…라고.. 2014. 4. 10.
[인터뷰] 자타공인 고전평론가 고미숙, 근대성을 말하다 우리의 신체와 무의식에 새겨진 '근대성'에 대한 탐사! 1. 선생님께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고전평론가’이시고, 그간의 저작활동에 비춰봤을 때, 이번에 출간하신 책들이 이라는 데에 놀라는 독자들도 적지 않을 듯합니다. 독자들의 머릿속에는 ‘고미숙=고전’이라는 등식이 자리하고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일단은 ‘근대성이 뭐지? 왜 고전평론가가 저런 문제를 다뤘지?’라는 의문이 먼저 들 것 같은데요. “근대, 그러면 지금 우리 시대도 사실은 근대예요. 근데 더 구체화하면 20세기적 삶의 방식이나 세계관, 이런 걸 총칭하는 말이고. 정확하게 얘기하면 1894년 갑오년, 지금으로부터 120년 전이네요. 그때부터 이제 어떤 지축이 막 흔들리면서 서구가 도래해서 1907년쯤 해서 근본적으로 개편이 되는 거예요. 그때부터.. 2014. 4. 9.
바다를 동경했던 담대한 소년, 최남선의 글과 삶 ‘문명’에 굽힌 지조, 지식인의 숙명인가 신문화운동의 기수, 최남선 1906년 3월, 17세의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은 일본 와세다대 고등사범부 지리역사과에 입학하기 위해 바다를 건넜다. 초행길은 아니었다. 이태 전인 1904년에도 일본을 다녀간 적이 있었다. 그는 대한제국 황실유학생단의 최연소 유학생이자 반장이었다. 당시 열다섯이었던 소년의 눈에 비친 일본은 이전까지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 듣던 과거의 일본이 아니었다. 그곳은 눈부신 신세계였다. 그 신세계의 거리에서 소년은 서점 유리창 너머로 매달 쏟아지는 수십 종의 잡지들에 매혹당했다. 소년에게 그것은 문명의 상징이었다. 두 차례에 걸친, 그리고 남들보다 비교적 일찍 시도된 그의 유학 생활은 모두 짧게 끝이 났다. 도쿄부립 제1중학에서의 .. 2014.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