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진숙54 『삼국사기』속의 천재지변, 그리고 왕과 나라의 운명 너무나 역사적인 사실들: 자연사와 인간사의 함수관계 #2 ❚ 천재지변과 왕의 죽음 자연은 인간생활에 직접 관계되기도 하지만, 왕의 죽음과 같은 인사(人事)를 천재지변으로 예시한다. 「신라본기」에는 왕의 죽음을 예고하는 이상한 기운들이 기술된다. 『삼국사기』 안에서 이런 것들은 역사적 사실이었다. “제왕이 장차 일어나려고 할 때 하늘은 반드시 상서로운 조짐을 백성들에게 보여주는”(「응동應同편」, 『여씨춘추』) 것처럼 왕이 죽기 직전에도 예사롭지 않은 조짐들이 몰아친다. 지금의 우리는 믿지 않는, 어렴풋한 비의로만 간직한 하늘의 예시와 조짐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적어도 사실로서 인지했던 것이다. 우리가 역사의 영역에 넣지 않고 소설이나 야사의 영역에 넣는 사건이 역사적인 사실로 비중 있게 다뤄진다. * .. 2016. 9. 20. 삼국사기에 담긴 천재지변 그리고 하늘의 뜻 너무나 역사적인 사실들: 자연사와 인간사의 함수관계 책을 읽는 묘미는 기대나 예상을 넘어설 때 찾아온다. 책이 주는 신선함, 그 의외성은 잠든 뇌를 깨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자극이 없다면 우리는 관성적으로밖에 사고하지 못한다. 식상한 패턴으로만 뇌가 활동하면 우리의 마음도 신체도 무기력에 빠져 감각의 자극에만 민감해지지 않을까? 감각기관만 비대해지면 더 센 쾌락적 자극을 찾아 헤매다, 끝내 심신은 마비되고 만다. 마비된 뇌를 활성화하고, 뇌의 흐름을 바꾸는 가장 효과적인 활동은 독서라고 생각된다. 그중에서도 역사책은 현재라는 관성 안에 갇힌 뇌의 회로에 다른 길을 내준다. 물론 고도의 집중력과 지루한 시간을 견디는 인내력은 필수이다. 기꺼이 역사책 속으로 뛰어들면 그 유구한 시간의 흔적들 속에서 저마.. 2016. 8. 30. 홍대용에게 배우는 여행법 - 이런 여행을 가고 싶다! 홍대용에게 배우는 여행의 태도 며칠 전 친구와 이런저런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수다를 떨던 중에 당시 내가 봐두었던 태블릿을 살지 말지를 두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그 제품이 비싼 건 맞았지만 공돈이 생기기도 했고, 못 살 만큼 비싸냐고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에 문득 친구는 “하지만 나 같았으면 그 돈으로 뉴질랜드행 비행기 티켓을 샀을 거야”라고 말했다. 나는 조금 놀랐다. 생각보다 뉴질랜드 비행기 티켓 값이 비싸지 않았다. 짧은 시간 동안 나는 내 통장 잔고를 가늠해보았고, 지금 당장에라도 뉴질랜드에 다녀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갑자기 미지의 세계였던 뉴질랜드가 아주 구체적으로 느껴졌다. 뉴질랜드가 마치 제주도나 울릉도 정도 되는 것 같았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갈 수 있는.. 2016. 8. 24. 다가오는 가을을 풍성하게 해줄 강의들 소개 명리와 노자의 만남부터 니체랑 철학하기까지 ― 올 가을 꼭 들어야 할 강의들 사흘만 지나면 이제 ‘모기 입도 비뚤어진다’는 ‘처서’입니다. 올해가 참 더웠지만 저는 가장 더웠다는 1994년 여름을 (개인적 일들이 여러 개 겹치기도 한 때라)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그때 처서 무렵 정말 밤에 서늘한 바람을 맞으며 정신이 확 들었던 것도요! ”이전의 모순이 변증법적으로 해소되어 다음 단계로 가는 경우는 없다. 낮의 모순을 제대로 해소하기도 전에 문득 저녁이 오는 것처럼. 여름의 극점에서 문득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것처럼.” - 고미숙,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 북드라망, 2016, 35쪽 네, 갑자기 찬바람이 불면 문득 정신이 들면서 “내가 그동안 뭘 한 거지” 싶기도 하고, “뭘 좀 제대로 해.. 2016. 8. 19. 이전 1 2 3 4 5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