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진숙54 "온달에게 시집가겠어요!" 남편을 선택한 두 여인 고구려 왕실의 두 여인,남편을 선택하다 역사책을 읽을 때마다 확인하는 것은 인간사에 규칙은 없다는 것이다. 당대에 통하는 삶의 규칙이나 윤리는 있지만, 역사책 속의 숱한 사건들은 늘 그것들을 배반한다. 우리가 역사책을 읽는 이유는 아마도 인간사의 규칙성 때문이 아니라 어쩌면 그 의외의 반전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인간에게는 어떤 일이든 일어난다. 어떻게 이런 일이가 아니라 늘 그렇듯, 굉장히 놀랍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새삼스럽다고까지 말할 수는 없는 반전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어떻게 ‘이런 일이’를 외치기보다는 그런 일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런 사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느냐를 살펴볼 따름이다. 1. 왕후로 살아남기 ❚ 고국천왕의 왕후, 우씨의 역모 굉장한 반전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삼국.. 2016. 8. 16. 『삼국사기』 속 고구려의 폭군들 - "이것은 백성의 원수라!" 통치자의 초상 : 정치란 무엇인가? ③ ❙ 잔인한 모본왕의 말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왕의 됨됨이가 기록되어 있다. 인품과 지혜를 갖춘 왕과 포악스럽고 모자란 왕. 다스려지고 다스려지지 않는 것은 이들 왕의 됨됨이에 달려 있다. 특이한 것은 포악스럽고 잔인하면서 모자란 왕들은 예외 없이 신하들에 의해 제거된다는 사실이다. 고구려는 포악한 왕을 용납하지 않았다. 이런 자는 신하들과 백성의 적일 뿐, 천하가 섬기는 왕일 수 없다는 논리가 「고구려본기」를 관통한다. 맹자가 말하지 않았는가? “잔인무도했던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과 같은 통치자는 일개 평범한, 사나운 남자에 불과하므로 이들을 죽여도 모반죄가 되지 않는다.” 맹자에게 이런 왕은 마땅히 교체되어야 하는 게 정의였다. 고구려 시대, 맹.. 2016. 8. 2. 삼국사기를 통해 본 대무신왕 - '약소국이라도 이런 당당함은 있어야 한다' 통치자의 초상 : 정치란 무엇인가? ② ❙ 어린 왕자, 무휼의 지혜유리왕의 셋째 아들, 동명성왕의 손자인 무휼은 6살부터 국정에 참여한다. 아니 이럴 수가! 그리고 11살에 왕위에 올랐다. 바로 대무신왕(4-44년)이다. 김부식은 무휼을 이렇게 평가한다. “나면서부터 총명하고 슬기로웠으며 장성해서는 뛰어나게 큰 지략이 있었다.” 겨우 6살 때 무휼은 강대국의 압박을 물리칠 정도로 지혜로웠다. 부여왕 대소의 사신이 와서 작은 나라인 고구려가 큰 나라 부여를 섬겨야 한다고 협박했다. 왕을 비롯하여 신하들은 부여에 굴복하자고 의견을 모았으나, 무휼이 나서서 사신에게 말한다. “우리 선조는 신령의 자손으로서 어질고도 재주가 많았던 바, 대왕이 질투하고 모해하여 부왕에게 참소하여 말을 먹이게 하였다. 이 모욕 때.. 2016. 7. 5. 『삼국사기』,「고구려본기」 속의 광개토대왕의 모습은?! 통치자들의 초상 : 정치란 무엇인가? 그저 담담한 광개토대왕의 기록 『삼국사기』를 읽으려 할 때 무엇이 가장 궁금할까? 나는 「고구려본기」의 광개토왕 기사를 먼저 펼쳐보았다. 흠모해 바라마지 않던 왕이자, 고구려에서 가장 유명하고 훌륭한 왕이라 배웠기 때문이다. 물론 드라마의 영향도 지대했다. 한반도의 지리적 위상 때문인지, 대제국에 대한 동경 때문인지 요동 저 너머까지 영토를 확장한 왕에 대해 ‘기묘한’ 경외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광활한 영토에 발을 디디는 상상만으로도 광개토대왕은 너무나 멋진 왕이라 여겨졌던 것이다. 영토의 넓이와 국민의 행복지수가 어떤 함수관계를 갖는지 생각해본 적도 없으면서 괜히 땅이 넓으면 잘 사는 것 같은 아니 잘 살 것 같은 착각이랄까, 그런 요상한 심리가 작동했던 것도 .. 2016. 6. 21.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