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6 담헌 홍대용 ② : 『열하일기』보다 흥미진진한 청나라 여행기 「연기」 「연기(燕記)」 : 청나라의 발견, 북학의 시작 1. 『열하일기』 이전, 「연기」가 있었나니! 오래전부터 중국 여행을 준비했던 담헌 홍대용이 1765년 12월 연경을 향해 길을 떠났다. 서울에서 의주까지 1천 50리, 의주에서 연경까지 2천 61리를 왕복했다. 담헌은 동지사의 일행 중 한 명이었지만, 공식 사행단이 아니라 개인 수행원 자격으로 길을 떠났기에 자유로운 여행객으로 청나라의 곳곳을 마음껏 보고 즐길 수 있었다. 그리고 돌아와 여행기를 썼으니, 「연기(燕記)」가 그것이다. 최고의 여행기라 불리는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유명세에 비교할 때, 담헌의 「연기」에 대해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담헌 홍대용 하면 국경 너머 청나라에서 이국의 선비들과 진한 우정을 나눈 것으로 유명하지 않은가? 그런데.. 2014. 12. 30. 낭송 장자 씨앗문장 : '빈 배'를 무엇으로 채우고 있나요? 『낭송 장자』 씨앗문장 ‘빈 배’처럼 살고 싶다고요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데 빈 배가 와서 부딪혔습니다. 아무리 성마른 사람이라도 화를 내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 배에 한 사람이라도 타고 있다면 밀어라, 당겨라 고함을 칩니다. 한 번 고함 쳐도 듣지 않고, 두 번 고함 쳐도 듣지 않으면 세번째엔 욕을 퍼붓습니다. 앞의 경우에는 화내지 않았지만 뒤의 경우에는 화내는 이유는, 앞의 경우엔 빈 배였지만 뒤의 경우엔 누군가 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빈 배처럼 자신을 비운 채 세상에서 노닌다면 누가 그를 해치겠습니까?“― 장자 지음, 이희경 풀어 읽음, 『낭송 장자』, 62쪽 멸종 위기입니다. ‘빈 배’처럼 사는 사람은 없는 것이나 다름없으니까요. 요즘은 가득가득 채우고 사는 것이 최고인 세상이어서 그.. 2014. 12. 29. 밀당 대신 솔직함 - 뉴욕의 국제 연애 이야기 국제 연애 이야기 갑오년을 떠나보내며 망나니 같았던 청마의 해. 사건 사고가 끊이질 않은 갑오(甲午)년이 이제 거의 다 지나가고 있다. 지구 반대편에서 한국 뉴스를 볼 때마다 가슴이 조마조마했었다. 또 무슨 일이 터질까 하고... 그렇지만, 사실 자질구레한 내 새 일상을 챙기기에도 바빴다는 게 더 솔직한 심정이다. ‘갑’의 시작하는 기운을 따라 나의 뉴욕행 또한 시작되었었다. 하지만 이 한 해는 내게 시작 그 이상을 의미했다. 사주명리학에서 나 자신을 뜻하는 나의 ‘일간’은 을목(乙木)이다. 을목에게 갑(甲)은 동료들의 기운을 뜻하는 비겁, 오(午)는 언어와 음식의 기운을 뜻하는 식상이다. 신기하게도 내 대운 역시 이년 전부터 비겁과 식상으로 바뀌었었다. 이 세운과 대운의 교차는 아주 강력했다. 올 해 .. 2014. 12. 26. [임신톡톡] 임신 2개월, 하늘이 낸 씨앗이 땅에서 꽃피는 시기! 둘째 달, 담의 결단력으로 태아를 기른다 이상이 쓴 단편 소설 의 주인공 ‘나’는 스물여섯 살 청년이다. 그는 한창 팔팔할 나이에 하는 일 없이 아내에게 얹혀살고 있다. 그것도 몸을 팔아 생계를 꾸리는 아내에게. 그의 전공 분야는 ‘생각하는’ 것이다. 아내와 장지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나’의 방은 창이 없어 볕도 들지 않는다. 그는 이 골방에서 찬밥덩이로 배를 채우며 축축한 이불을 뒤집어쓰고 발명도 하고 논문도 쓰고 시도 쓴다. 오로지 생각으로만. 한 마디로 이불 속 연구원인 셈이다. 아내에게 미안한 마음도 결코 말로 전하는 법이 없다. 혼자서 이불을 쓰고 누워 마음 졸이며 생각으로만 사죄를 한다. ‘나’가 감기에 걸렸을 때, 아내가 준 약이 아스피린이 아니라 수면제임을 알았을 때에도 아내에게 한.. 2014. 12. 25. 이전 1 ··· 648 649 650 651 652 653 654 ··· 8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