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은퇴 이야기9

[나의 은퇴 이야기] 어느 23년차의 퇴사 감행기 어느 23년차의 퇴사 감행기 이세경(감이당) 퇴사 1년차, 백수로 산다 작년 봄 회사를 나왔다. 23년간 무던하게 다닌 회사였고 퇴직도 13년 남은지라 주변 이들에게는 조금 의아한 퇴사였다. 특별한 이유도 없이 익숙한 일자리를 그만두니 말이다. 하지만 나는 졸업을 앞둔 학생처럼 주어진 과정을 모두 마친 기분이었다. 그래도 인생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라 이런 저런 감정들이 교차했는데 가장 큰 것은 고마운 마음이었다. 그간 회사 덕분에 잘 지냈고 좋은 사람들을 만났고 자립도 했으니 말이다. 상황이 허락하는 만큼 동료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마지막 퇴근을 했다.퇴사 전날까지 부탁받은 일을 하느라 바쁘게 지냈는데 그래서인지 퇴사 후 첫 주는 몸살로 보냈고 기운을 차린 후부터 감이당으로 출근(?)을 .. 2025. 6. 16.
[나의 은퇴 이야기] 은퇴, 새로운 시작 은퇴, 새로운 시작이향원(감이당) 이기적인 큰 언니 은퇴 이야기를 시작하자니 어린 시절로 돌아가게 된다. 왜 교직에 들어오게 되었나 되돌아보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자니 남다른 집안 환경이 떠오른다. 아버지는 집안의 장남이었고, 공무원이었다. 그런데 내내 딸들만 무려 여덟 명을 두었고, 막내로 태어난 남동생은 첫째인 내가 대학에 들어간 스무 살 때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아버지로부터 우리 집은 가난하니 공부해서 성공해야 한다는 말을 귀가 따갑게 듣고 자랐다. 나는 그리 희생적인 큰 언니가 아니었다. 엄마가 그때는 귀했던 바나나를 사서 나에게만 주면 그걸 동생들 몰래 혼자만 먹는 이기적인 큰 언니였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희생과 봉사라는 말이 제일 싫었다. 그런 나는 부모님의 사랑을 독차지하고자 공부를 열심히 .. 2025. 5. 19.
[나의 은퇴 이야기] 마땅한 삶의 길로 한 발씩 내딛기 마땅한 삶의 길로 한 발씩 내딛기권순정(사이재)1. 은퇴를 했다 “권순정 선생님, 명예퇴직을 축하합니다.” 2025년 1월 10일, 교감선생님으로부터 받은 ‘청천벽력’같은 메시지였다. 그날은 이미 제주도에 가 있던 사이재 식구들과 합류한 제주 여행의 첫날이었다. 하필 애써 고른 잠녀식당이라는 맛집에서 점심을 막 시켜 놓은 터였다. 나의 명예퇴직을 바란 사이재 식구들은 환호하며 축하해 주었지만 문자를 확인한 순간, 나는 숨이 멎고 가슴이 조여드는 듯한 압박감으로 숨이 잘 쉬어지지 않았다. 입이 바짝바짝 마르고 온 몸에 힘이 쫙 빠졌다. 다들 맛있게 밥을 먹는데 나는 밥알이 목구멍에 걸려 잘 넘어가지 않았다. 일주일간의 제주 여행 내내 마음이 무거웠다. 이 감정이 대체 뭔지 그림자처럼 계속 나를 따라다니며 .. 2025. 4. 28.
[나의 은퇴 이야기] 한 예비 은퇴자의 자각 한 예비 은퇴자의 자각 승연(고전비평공간 규문) 문득 자각하게 된 퇴직의 시간 남편과 아침밥을 먹은 후 서둘러 출근 준비를 한다. 옷을 입으며 시계도 보고 주방의 이것저것을 정리하는데, 남편은 거실에서 라디오 뉴스를 들으며 무언가를 보고 있다.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같은 직장에 다니며 함께 출근하던 우리 부부였지만 요즘은 나 혼자 출근한다. 지난해 말에 남편이 퇴직했기 때문이다. 출근하지 않고 여유롭게 아침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남편의 모습이 왠지 어색하다. 남편의 퇴직은 우리의 삶을 많이 바꿔놓았다. 출근은 나 혼자 하지만 퇴근 후에는 저녁을 먹고 함께 시간을 보낸다. 가계 수입도 줄어서 돈을 쓸 일이 생기면 한 번 더 생각하게 된다. 조금은 여유로워 보이는 남편의 일상을 지켜보지만 아직까지도 남편의.. 2025.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