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석기 시대17 [나의 석기 시대] 외모 지상주의의 기원 외모 지상주의의 기원 1. 예뻐서도 줍는다 줍는 것은 본능이다. 인류는 채집을 하며 진화의 긴 길을 걸어가고 있다. 주는 대로, 할 수 있는 만큼, 자기 손아귀에 쥘 수 있는 딱 그 정도의 것을 귀하게 보며 살았고, 그렇게 또 살아가야 한다. 그런데 채집을 생계에 맞춰서만 생각하다보니 이것이 다가 아니다 싶다. 왜냐하면 등산이나 산책을 하며, 해변에서 모래성을 쌓거나 헤엄을 치다가 그저 예뻐서 줍게 되는 것들도 많기 때문이다. 인테리어에는 전혀 취미가 없는 나도 부엌이나 마루 책꽂이 위에 작고 이상한 물건들을 많이 두고 있다. 나는 왜 이상한 모양으로 부서진 조개껍데기라든가, 귀에 대면 바다 소리가 들리는 고둥이라든가, 착하게 생긴 돌멩이라든가에 끌리는가? 작고 쓸모없는 것을 향한 이 탐심을 어쩌면 좋아.. 2024. 12. 26. [나의 석기 시대] 바다는 사람과 공동체를 기르네 바다는 사람과 공동체를 기르네 1. 주는 대로 먹는다 인류는 잡식이다. 기원부터 따져보자면 쉬이 잡기 어려운 육식보다는 다양한 자연 먹거리의 채집이 식재료 준비의 일차적 모델이었을 법하다. 인류사적 맥락에서 농경의 역사는,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재배 경작을 기준으로 최소 기원전 만년까지 올라간다고 하니(제레드 다이아몬드,『총·균·쇠』) 그 이전까지의 인류는 주로 주워 먹었다는 이야기다. 물론 농경이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그 모습이 또한 환경에 따라 천차만별이었을 테니 채집을 인류의 기본 생계 모델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당할 듯하다. 인류는 줄곧 주는 대로 먹어왔다는 이야기다. 주워 먹는다, 주는 대로 먹는다. 언뜻 들으면 궁핍한 생활이 떠오른다. 그런데 또 곰곰이 음미해보면 뭔가 울컥해지는 포인트가 있.. 2024. 12. 19. [나의 석기 시대] 채집, 어디까지 해봤니? 채집, 어디까지 해봤니? 1. 도토리를 주우며 인류는 고기만 먹지 않았다. 〈고기전〉에서 소개되고 있는 육식의 인류사를 보니 다른 먹거리에도 관심이 간다. 오래도록 인류는 잡식성이 아니었을까? 매일 안정적으로 고기를 잡기가 어렵고, 오랜 시간 저장을 해두기에도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선사 일상식의 절대적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식물상이었을 것이다. 가을 단풍이 좋아 등산을 나서면 산 입구에서부터 예쁘게 떨어져서 ‘날 잡아줘~’ 부르는 도토리들을 만날 수 있다. 도토리묵을 만들 것도 아닌데 보이는 대로 허겁지겁 막 주워서 가방에 막 챙겨오게 된다. 한 웅큼 손에 도토리를 쥐고서 일어나 허리를 펴면, 나만 그렇지 않고 여기저기에서 주먹을 꼭 쥐고 있는 등산객들을 볼 수 있다. 다들 줍는 즐거움에 푹 빠져 있다.. 2024. 12. 12. [나의 석기 시대] 선사의 먹거리 선사의 먹거리1. 석기 시대의 고기전(展) 인간과 동식물이 ‘고기’의 차원에서 존재론적으로 동등하다는 점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본다. 이런 만물 동등성을 직접 느낄 수 있는 선사의 전시가 있다. 전곡 선사 박물관 웹페이지에서 지금도 열어 두고 있는 온라인 〈고기전〉(링크)이다. 나는 24년 초겨울 이 전시회에 직접 다녀왔다. 그런데 전시 공간의 전체 색감 구성(선혈이 낭자한 고기핑크)이라든가 관람 동선이 주는 역동성(구불구불 소장의 형태) 부분만 빼면 온라인 전시회를 보는 것으로도 고기로서의 인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사실, 실제 전시 공간은 여러 가지로 불편한 느낌을 주었다. 우선 입구에 다양한 고기들을 동물 별로, 주로 먹는 부위 별로, 저장 방식 별로 매달아 전시해 두었는데 머리 위에서 피가 .. 2024. 12. 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