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석기 시대17 [나의 석기 시대] 기도는 손으로 하는 일 기도는 손으로 하는 일1. 기도는 손으로 울산 태화강 하류에는 선사인들이 그린 암각화가 있다. 지난 시간에 토기의 무늬에 대해 이야기했으므로 오늘은 본격적으로 무늬 즉 선사의 그림에 대해 생각해보자. 울산에서 발견되는 선사 유적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것으로, 박물관 안내 책자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는 4만 년 전부터 인류가 사냥과 채집 활동을 했다고 한다(울산 신화리 유적). 반구대의 제작 시기는 대략 7000년 전의 신석기 시대로들 본다. 한반도 신석기는 대략 기원전 8천 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밭농사 중심의 농경 흔적은 기원전 2700년 이후다. 그전까지 농경은 채집, 사냥, 어로에 비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울산 지역에서는 반구대가 그려질 당시의 무렵 농경 생산의 흔적이 확인되지 않는다... 2025. 1. 23. [나의 석기 시대] 비(雨)는 토기의 꿈 비(雨)는 토기의 꿈 1. 토기의 다양한 용도 부산 《동삼동 패총 전시관》에서 아이의 시체가 들어 있었던 한반도 최초의 옹관묘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릇에 담을 수 있는 것으로 죽은 몸도 있는 것이다. 왜 아니겠는가? ‘사람’이라고만 하지 않는다면 대개 식기류 그릇에는 죽은 생물이 담긴다. 선사의 옹관식 장례도 신의 밥상을 차리는 일이었을까? 후지하라 다쓰시는 변기가 사기로 되었다는 점을 들어 일종의 그릇으로 본다. 후지하라에게 있어 배변이란 자연의 밥상을 차리는 일이다(후지하라 다쓰시,『전쟁과 농업』). 장례를 신의 밥상을 차리는 일이라고 생각해서였을까?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묘의 부장품으로 가장 많이 꼽히는 것은 토기다(나중에 더 찾아서 알게 된 사실인데 고대 제국, 예를 들면 이집트 투탕카멘의.. 2025. 1. 16. [나의 석기 시대] 신석기의 무덤들 신석기의 무덤들 1. 조개 가면과 저승 동삼동 패총 유적지에서 마주한 조개 가면을 보니, 한반도 신석기 사람들이 지금 여기와는 다른 어떤 세계, 일상적으로는 직접 마주하기 어려운 어떤 세계를 보고 있었음을 알겠다. 그것은 죽음이다. 한편 동삼동은 패총 유적지다. 패총은 조개무지 즉 조개 무덤이라는 뜻으로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자리를 말한다. 한때의 영광을 고스란히 간직한 폐허다. 활발하게 일상이 영위되던 그 시절에도 생활 쓰레기 같은 것을 모아둔 곳이었을 수도 있다. 우리네 집에도 화장실이나 부엌과 같이 먹고 씻은 생활의 찌꺼기가 나가는 곳이 있다. 마을을 이루고 살던 선사인들에게도 그런 공동의 쓰레기장이 있었을 것인데, 세월이 지나 사람들이 그 마을을 떠나게 되자 남아 있는.. 2025. 1. 9. [나의 석기 시대] 조개 가면 미스테리 조개 가면 미스테리 1. 하얀 얼굴 검은 구멍 조개는 먹기 위해서도 줍지만 꾸미기 위해서도 줍는다. 부산 《동삼동 패총 전시관》에 가면 동삼동의 선사인들이 조개로 얼마나 멋지게 꾸미고 살았을지를 재구한 재현물이 있다. 전시 벽면 중앙에 한 여성이 단정히 귀걸이와 목걸이 팔찌를 하고 있는데, 흙을 구워 귓불 안에 끼워 넣은 귀걸이를 제외하면 전부가 조개껍데기로 만든 장신구다. 그 아래로 투박조개, 밤색무늬조개, 세꼬막, 피조개 등으로 만든 조개 장신구가 가지런히 전시되어 있다. 조개 팔찌의 경우 안지름이 4~7cm 정도이니 진짜 팔에 들어갈 수 있나 싶은데, 어릴 때 끼워놓고 자라는 동안 몸에서 뺄 수 없게 했을 수도 있겠다. 동삼동 패총에서는 조개 팔찌가 1500여 점이나 나왔다고 한다. 1500여.. 2025. 1. 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