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6 [아스퍼거는 귀여워] 사회성은 자란다 사회성은 자란다 모로(문탁 네트워크) 일리치 약국과 로이약차에서 일하고 있다.열심히 쌍화탕을 달이고, 약차를 손질한다.어떻게 하면 새로운 것과 만날 수 있을까 항상 고민한다. ‘띠리링~’ 알람이 울린다. 일요일 오후 2시. 혹시나 잊어버릴까 알람까지 맞춰놨다. 감자가 처음으로 친구 집에 혼자 놀러 가는 날! 미리 빵집에 가서 친구와 같이 먹을 빵을 몇 가지 샀다. 이걸 잘 전달할 수 있을까? 옆에 있던 남편은 “가서 인사는 제대로 할까?” 라며 걱정한다. 그래 방문예절을 가르쳐야겠네.“감자야, 집에 들어가면 먼저 친구 부모님께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드려. 그리고 이 빵을 건네주면서 ‘엄마가 전해주라고 했어요.’라고 이야기하는 거야. 할 수 있지? 가서 뛰지 말고, 말씀 잘 듣고, 맛있는 거도 많이 .. 2025. 7. 8. [토용의 서경리뷰] 선양이냐 세습이냐 선양이냐 세습이냐 토용(문탁네트워크) 세습되는 권력 전근대사회에서 권력은 세습되어 왔다.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벌어지는 치열한 다툼 속에 태자로 세우기 위한 모략과 살인은 다반사였다. 대부분은 장자 계승이 원칙이었으나 왕의 아들이면 누구나 태자가 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자식을 태자로 세우기 위한 후궁들의 암투는 때로 역사를 핏빛으로 물들이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런 일은 춘추전국시대 흔하게 일어났다. 진(晉) 문공이 왕위에 올라 춘추오패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태자였던 자신의 형 신생이 죽음을 당했기 때문이었다. 세습이 꼭 자식에게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상(商)나라의 경우는 형제 계승이었다. 탕왕 이후 형제로 계승되었는데, 왕이 죽으면 왕위는 동생에게로 간다. 동생이 죽으면 왕.. 2025. 7. 7. [지금, 이 노래] '어제여 다시 한번' ― 카펜터스(Carpenters) 'Yesterday once more' '어제여 다시 한번' ― 카펜터스(Carpenters) 'Yesterday once more'정군(문탁네트워크) 주민등록상 50년 생인 나의 어머니가 요즘 아프시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이지만, 조금 길게 이야기를 하다보면 앞에서 한 이야기를 잊어버리고 다시 묻거나, 어제 있었던 일을 오늘 아침에 있었던 일로 착각하신다거나 하는 식이다. 아무래도 경도인지장애, 흔한 말로 치매 초기의 몇몇 징후들이 눈에 띈다. 진료도 받고 검사 날짜까지 받아놓은 어느 비오는 날, 급기야 은행에 다녀오시던 길에 일이 터지고 말았다. 집 앞의 미끄러운 계단 앞에서 넘어지고 만 것이다. 엄마는 그렇게 세번째 척추압박골절 진단을 받았다. 하루 종일 엄마를 돌볼 수 있는 형편이 아닌지라 입원은 당연지사. 가만히 누워서 천장만을.. 2025. 7. 4. [내가 만난 융] 뮤즈인가, 나락行 급행열차인가 ─ 아니마/아니무스 뮤즈인가, 나락行 급행열차인가 ─ 아니마/아니무스 서 윤 (사이재) 그림자와의 대면이 도제徒弟의 작품이라면, 아니마와의 대면은 장인匠人의 작품이다. 『원형과 무의식』, C.G.융, 솔, 139쪽. 언제부터인지는 잘 모르겠다. 창작 활동을 하는 예술가들 곁에서 영감을 주는 존재가, 뮤즈라 불리기 시작했다. 당연히 일부 예술가들의 삶에서만 발생하는 특별한 사건이라 여겼던 것 같다. 그런데 또 곰곰이 생각해 보니, 뻔한 삶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시도를 하도록 고무하고, 그리하여 무언가를 낳도록 자극하는 존재가 바로 뮤즈 아니던가. 그렇다면 평범한 나도 영감을 주는 존재를 향한 갈망과 부득이한 사로잡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말이 된다. 현실과 망상을 오가며 엮이는 그런 관계들을 극화(劇化)하지 않았을 따름이다.. 2025. 7. 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