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28 한겨울에 읽는 8편의 소설 - 세계문학을 만나다 ① 한겨울에 읽는 8편의 소설 - 세계문학을 만나다 ① 이야기는 ‘나’를 바꾼다 볼테르, 『쟈디그 깡디드』(이형식 옮김, 펭귄클래식) 판글로스를 그토록 가련한 상태로 만들어 놓은 원인과 결과, 그리고 충족이유에 대하여 물었다. “아!” 판글로스가 말하였다. “그것은 사랑입니다. 인류의 위안거리이고 우주의 보호자이며 감각 능력을 갖춘 뭇 존재의 영혼인 그 다정한 사랑입니다.” “아!” 깡디드가 말하였다. “저도 겪었습니다 그 사랑을, 뭇 심정의 군주이며 우리의 영혼인 그 사랑을. 하지만 치른 대가는 입맞춤 한 번과 꽁무니에 가해진 스무 번의 발길질뿐이었습니다. 도대체 그 아름다운 원인이 어떻게 선생님께 그토록 추한 결과를 안겨 드릴 수 있었습니까?” 판글로스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오, 나의 귀한 벗님 .. 2013. 1. 29. 길이 끝난 곳에서 운명은 시작되고 길이 끝난 곳에서 운명은 시작되고 우리는 대개 자신들이 자유롭지 못하다고 느낀다. 물론 어느 누군들 자기 마음대로 살고 있겠는가. 우선 나부터도 회사에 앉아 보고서를 읽노라면, 불현듯 알 수 없는 서글픔에 빠지곤 한다. 내가 무언가에, 예컨대 가족이나 명예 같은 것에 얽매여 있기라도 한걸까? 글쎄, 여기에 이르면 그게 딱히 불분명해진다. 가족만 동의하면 당장 회사를 그만둘 수 있냐는 질문에는 바로 대답하기 쉽지 않고, 명예로우면 얼마나 명예롭겠냐며 그 알량한 직함이걸랑 당장 내던지라는 말에는, 어찌 반응해야할지 곤혹스럽기만 하다. 하지만 딱히 그런 이유가 아니라면, 그러니까 가족이든 명예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박차고 나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을까? 그마저 선뜻 감행하지 못한다. 결국 자유로워.. 2013. 1. 8. 응답하라, 디 아더스!ㅡ우주의 경이로움에 대하여 안녕, 디 아더스the others 신근영(남산강학원Q&?) 디 아더스 the others 「디 아더스」라는 영화를 보신 적이 있으신지. 진짜 무섭다. (@_@) 그러나 이 영화의 무서움은 다른 공포영화들과는 다르다. 살인마들이 내리치는 도끼나 칼에 피가 낭자하지도 않고, 머리를 풀어 헤친 귀신이 깜짝 등장하지도 않는다. 그러면서도 묘한 섬뜩함과 놀라움이 「디 아더스」에는 있다. 영화의 배경은 2차 세계 대전이 막 끝난 영국의 외딴 저택이다. 전쟁으로 남편을 잃은 주인공 그레이스에게는 두 아이가 있다. 이 아이들은 빛을 쬐면 안 되는 희귀병에 걸려있어서, 이들의 집에는 항상 두꺼운 커튼이 내리쳐져 있다. 그러던 어느 날, 하인들이 모두 사라지고, 예전에 이 집에서 일한 적이 있다는 세 명의 하인들이 나타.. 2012. 11. 14. 배운다, 고로 존재한다!ㅡ마뚜라나의 생물학 공부, 내가 나를 만드는 활동 고찬영(남산강학원 Q&?) 지식은 누구나 그렇게 생각하지♪ 평소에 머리가 나쁘다는 생각을 한 적은 별로 없다. 그런데 공부만 하면 내가 혹시 바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머릿속에 지식을 집어넣으려고 해도 잘 안 된다. 정말 내 머리가 좀 모자란 걸까? 그런데 일상생활에 큰 문제가 없는 걸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은 거 같다. 그러면 혹시 내가 생각했던 진정한 지식이란 없는 건 아닐까? 애초부터 있지도 않은 걸 자꾸 집어넣겠다고 하는 게 잘못일 수도 있다. 하지만 현대 생물학에서는 뇌가 정보를 받아들여서 처리한다고 말하고 있다. 모든 인지는 뇌에서 일어난다고 말이다. 그렇다면 내가 지식을 이렇게 생각하는 건 당연한 거 아닌가? 뇌는 입출력 장치인가 내가 알고 있던 .. 2012. 9. 19.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