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양사상3

성태용 선생님의 신간 『지혜로운 삶을 위한 동양사상 강의』가 출간되었습니다. 성태용 선생님의 신간 『지혜로운 삶을 위한 동양사상 강의』가 출간되었습니다. 북드라망 & 북튜브 독자님들 안녕하세요.  북튜브 출판사의 2025년 첫 책, 『지혜로운 삶을 위한 동양사상 강의』(이하 『동양사상 강의』)가 출간되었습니다.  『동양사상 강의』는 북튜브 출판사에서 이미 두 권의 불교 책을 내신 성태용 선생님의 신간입니다. 성태용 선생님은 대학에서 유가철학을 주로 강의하셨고, 불교도로서 재가불자 운동에도 활발히 동참하고 계십니다. 노장사상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깊이 공부를 하셨지요. 이번에 출간된 『동양사상 강의』는 오랫동안 인도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동양사상 전반을 깊이 연구한 원로 학자의 내공이 고스란히 담긴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주로 인도와 중국의 사상을 다루는데, 인도의 사상으로는 『바.. 2025. 1. 13.
사주명리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사주명리는 사주명리다! “북드라망에 느낌으로 글 하나 써 주실 수 있을까요. 보통 미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인식전환용 글이 필요한데” 얼마 전 받은 문자다. 어차피 2주에 한 번 북드라망에 글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나는 별 고민 없이 그렇게 하겠다고 답문을 보냈다. 아마도 이런 부탁이 들어온 이유는, 내가 과학 공부를 하고 있는데다가 몇 차례 의역학 공부를 했었기 때문인 듯했다. 그러니까 내가 추측한 청탁자의 요구는 ‘사주는 미신이 아닙니다. 과학입니다’였다. 나는 이런 요구를 마음에 두고,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과학이 가진 미신적 측면을 얘기하고, 과학과 미신의 불분명한 경계를 말할까.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을 사주명리적 차원에서 얘기해 볼까. 아님 서양 물리학의 상호작용으로.. 2012. 8. 15.
나도 말을 잘하고 싶다!! - 막말쟁이의 고민 논어로 만난 말의 달인, 공자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선생님! 전 언제쯤 천왕동이처럼 될 수 있을까요?” “뜬금없이 그게 무슨 말이냐?” “있잖아요, ‘그거’.『임꺽정』에 보면 천왕동이가 ‘문자’를 막 쓰면서 말을 하잖아요. 백두산에서 굴러먹다가 내려와서는 사람들하고 말을 섞는데, 어휘가 딸려서 매번 말끝을 흐리잖아요. 그러다가 어느 날 갑자기 ‘왕후장상이 영유종호아’(王侯將相 寧有種乎: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는가!)라는 문자를 쓰면서 말을 하잖아요. 저도 언제쯤이면 그렇게 말을 잘할 수 있을까요?” “으이그! 너는 그래서 안 돼! 문자 쓰는 게 말을 잘 하는 거냐? 맥락에 맞아야지. 만날 맥락하고는 상관없는 말만 하는 너랑 천왕동이가 비교가 돼? 제발 맥락을 좀 파악하고 말을 해라!” 『임꺽정, 길 .. 2012.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