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9 [북-포토로그] 2주 동안의 강제 방학 2주 동안의 강제 방학 그런 날이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짜증이 스멀스멀 올라오는 때 말입니다. 이럴 때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주변 사람에게 나의 짜증을 그대로 전달해 버릴 수 있거든요. 하지만 한번 다운된 기분은 쉽게 나아지질 않습니다.왜 그런지 곰곰이 생각해보니, 2주 전부터 둘째 아이가 아팠고, 그 여파로 큰 아이까지 지난 주 내내 어린이집에 못 가게 되어서 그런 듯합니다. ‘이왕 이렇게 된 거 아이들과 즐겁게 지내면 되지!’라고 생각했는데, 몸은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별것 아닌 일에도 아이에게 화를 내는 저를 발견했거든요. 아이들과 내내 집에 있어야 하는 와중에 일도 하고, 밥도 해야 하고, 아이들과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집은 더 어질러져 있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 2024. 12. 11. [내인생의일리치] 돌봄 속에서 자유로워지는 노년을 위해 돌봄 속에서 자유로워지는 노년을 위해 글 / 경혜(노는 게 젤 좋지만 어쩌다 시작한 공부에 매달려 있는 중입니다.공부하면서 만난 학우들과 여러 인연으로 만난 지인들 덕분에독락(獨樂)의 굴레에서 빠져나와 동락(同樂)의 맛을 알아 가는 중입니다.) 지금까지 일했는데 또 일을 하라구? “휴, 이제 끝인가?” 시어머니 장례 잘 치르고, 아이가 무사히 군대를 제대하고, 동생 병수발과 장례까지 다 마무리하고 나서 들었던 생각이다. 중년에 접어들면서 아이 키우고 매일 식구들 먹을 음식하고, 청소하고, 시어머니 보살피고, 온갖 자질구레한 집안 대소사 챙기고, 직장 다니는 남편 뒷바라지하고, 때에 맞춰 휴가를 반드시 가야만 하는 남편에 맞춰 휴가도 다녀야 했던 수많은 집안일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다. 그러자 남편이 .. 2024. 8. 9. 서로에게 기대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 인터뷰집―신간 『불화와 연결』이 출간되었습니다! 서로에게 기대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 인터뷰집―신간 『불화와 연결』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작년 초여름에 ‘타인과 함께 사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 5인의 이야기를 풀어 낸 인터뷰집 『함께 살 수 있을까』를 냈던 김고은 선생님의 새로운 인터뷰집이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서로에게 기대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들의 이야기가 담긴 『불화와 연결』입니다! 이번 책에도 다섯 명의 청년들 목소리가 담겨 있습니다. 장애동료상담가인 진우, 강화에서 활동하는 의 멤버였던 지역의 이웃청년 총총, 〈청년기후긴급행동〉의 대표 은빈, 인문학공동체 에서 살림멤버로 활동하는 윤하, 그리고 대체복무요원인 길완이 그 주인공들입니다. 흔히 사회에서 ‘정상’으로 여겨지는 코스가 있습니다. 초-중-고를 나온 .. 2024. 7. 25. [한문이예술] 거북의 그 ‘거대한 시간’에 대하여 거북의 그 ‘거대한 시간’에 대하여 거북이를 좋아하는 선생과 학생의 만남 나는 거북이를 좋아한다. 아마 나를 오랫동안 본 사람들은 이렇게 물어볼지도 모르겠다. “네가 싫어하는 동물이 있어?” 그 질문에 답하기는 힘들지만… 어쨌든 동물 중에서도 거북이를 좀 더 좋아한다. 무언가를 좋아할 때도 여러 유형이 있는데, 누군가는 거북이를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의 거북목으로 세세하게 분류하면서 이해하고 싶어하거나 어떤 종류와 부위, 과거를 갖고 있는가를 줄줄 외우며 익히려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나의 경우에는 그냥 푹 빠져버리고 만다. 어느 날 정신 차리니 좋아하는걸 깨닫고 그 이후에 이유를 찾게 되는 식이다. 내가 깨달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거북이의 등껍질의 지문같은 주름들, 매끈하면서도 나른한 눈의 모양.. 2024. 3.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