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82 열혈청년, 당신은 혹시 병화? 병화丙火: 자로-절대 굴하지 않겠다!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슬램덩크』의 주인공 강백호를 떠올리면 병화사람에 대한 이해가 쉽다. ^^ “자로는 자기의 명대로 살다가 죽기 어려울 것이다.”[若由也 不得其死然(先進 13)] 공자가 자로를 두고 한 말이다. 노나라를 떠나 14년간 주유천하하면서 자기 뒷바라지 다 해줬는데 공자는 거침없이 말한다. 헌데 자로의 성격을 조금만 알면 공자의 이 말이 절대(!) 지나치지 않음을 금방 알 수 있다. 자로는 불같은 성격을 숨기지 못하고 늘 나서기를 좋아했다.『논어』에서 공자가 제자들을 향해 질문할 때면 어김없이 가장 먼저 대답하던 제자도 자로였다. 누구보다 먼저, 누구보다 앞서서, 누구보다 급하게! 맞고 틀린 건 그에게 그다지 중요해 보이지 않을 정도다. 좀 생각을 하고.. 2012. 6. 30.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안다, 적응력 최강자! 을목乙木: 자공-乙木? 仁木!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만화 원피스에 나오는 나미. 그녀는 자신의 순발력과 적응력을 십분 발휘하는 캐릭터이다. (게다가 미인!) 궁금하시면 책으로 직접 만나보시라! ^^ 제자들 비교하기를 상당히 좋아했던 공자가 자공에게 물었다. “너와 안회 중에 누가 낫다고 생각하는가?” 그러자 자공이 답한다.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압니다.” 어찌 공자 학당의 전교 일등 안회보다 나을 수 있겠냐는 것. 그러자 공자는 직격탄을 날린다. “그렇지. 넌 안회보다 못하지.”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聞一以知十, 賜也聞一以知二.” 子曰, “弗如也, 吾與女弗如也.”(公冶長9) 자공, 본명은 단목사(端木賜)이다. 달변가였고, 정치적 수.. 2012. 5. 19. 날 때부터 군자는 없다! 실수는 군자의 출발점일 뿐! 우리가 우리의 허물에 대처하는 방법 류시성(감이당 연구원)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子張 13) 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과야 인개견지 갱야 인개앙지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허물은 일식(日蝕)·월식(月蝕)과 같아서 잘못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고, 허물을 고쳤을 때에는 사람들이 우러러본다.” 군자(君子)는 공자가 생각한 ‘이상적 인간’이다. 그는 늘 때에 맞게 행동하며[時中] 자신의 사사로운 욕망(私慾)보다 인(仁)을 앞세우는 존재다. 그래서 이 엄친아와 마주하고 있으면 괜히 갑갑해지고 자꾸 주눅이 든다. 완벽한 인간 앞에 선 소인(小人)의 심정이라고나 할까. 더구나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줄곧, 우리들의 옆집에 반드시 한둘은 살고 있는 이 엄친아들 덕분.. 2012. 5. 14. 누가 하늘을 올려다보았는가! 동양 천문(天文)이 국가학이 된 사연 손영달(남산강학원 Q&?) 천문의 아득한 역사 나카자와 신이치의 책 『신의 발명』에는 한 인류학자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의례에 참가하는 장면이 나온다. 돌마토프라는 이름의 이 학자는 원주민들과 함께 의례에 사용하는 환각제를 마시고 무아경에 빠진다. 그가 본 것은 강렬한 빛의 율동. 깨어나고 나서 그가 환각상태에서 마주한 기묘한 형상들을 그려내자,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놀라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당신은 은하를 본 겁니다. 우리와 함께 은하까지 날아갔던 거죠.”(나카자와 신이치, 『신의 발명』, 동아시아, 43쪽) 은하를 여행하고 돌아왔다니, 이게 가당키나 한 일인가? 그렇다면 그가 본 빛의 정체는 무엇일까? 생각해 보니 이건 나 어릴 적에 동네에서 본드 불던 아이들.. 2012. 5. 10.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