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쿠바리포트34

[쿠바리포트] 새로운 집, 새로운 모험 새로운 집, 새로운 모험 새로운 집으로 이사 온 지 한 달이 지났다. 그리고 나는 이 한 달의 시간에 ‘모험’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있다. 글을 다 읽고 이렇게 사소한 문제를 가지고서 무슨 모험을 했다고 할 수 있느냐고 시비를 걸 수도 있다. 아, 물론이다. 지난 한 달 간 내가 사는 아바나에서는 혁명도 일어나지 않았고, 게릴라군도 오지 않았다. 그렇지만 나는 여전히 나의 일상을 모험이라고 부르련다. 우리가 사소하다고 치부하는 것들은 실제로 사소한 것들이 아니다. 일상의 기본을 책임지는 디딤돌이다. 이 요소들이 제대로 충족되지 않을 때, 일상은 곧바로 재난이 된다. 쿠바는 이런 소소한 재난의 천국(?)이다. 도대체가 ‘이런 게’ 내 인생을 괴롭히는 주적이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할 때.. 2019. 12. 24.
[쿠바리포트]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이야기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이야기 드디어 읽는다, 연구실 인기도서 이 게으른 방학을 맞이하여, 나는 연구실의 영원한 인기 도서를 드디어 처음으로 집어들 수 있었다. 바로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다. 연구실에서 끊임없이 회자되어 온 책, 표지를 너무 자주 봐서내 책장에도 한 권은 꽂혀 있을 것 같은 착각을 주곤 했던 책, 뉴욕에 가기 전에 어머니에게 선물로 드리기까지했던 책. 그러나 나는 단 한 번도 이 책의 첫 장을 열어본 적이 없었다. 그 당시 나는 아주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내가 아직 중년이 안 되었기 때문에 이 책이 별 효용성이 없다고 여겼다. 저자가 동원한 임상 사례들은 모두 40대에서 50대, 아무리 젊어봤자 30대인 여성들이었다. 10대 후반이었던 내가 몸에 대해서 무슨 고민거리가 있었겠.. 2019. 10. 29.
[쿠바리포트] 아바나의 매직 리얼리즘 아바나의 매직 리얼리즘 전공을 문학에서 의학으로 확 틀기는 했지만, 요새 나는 틈틈이 남미 문학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 (원래 자기 전공이 아니면 더 재밌어 보인다더니, 정말 맞는 말 같다. ㅋㅋ.) 그 주제 중 하나가 ‘매직 리얼리즘’이라는 개념이다. 매직 리얼리즘은 1960년대부터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나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같은 작가들에 의해서 시작된 문학 사조인데, 단숨에 남미 문학을 전 세계적인 스타덤에 올려놓았다. 유럽 문학이나 미국 문학과는 단단히 차별화된 스타일 때문이었다. 덕분에 남미 문학을 읽지 않은 사람이라도 매직 리얼리즘이라는 이름 정도는 기억하게 되었다. 실패와 유머로 만들어진 마법​그렇지만 매직 리얼리즘이 무엇인지 정말로 정의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문학 교수들마저.. 2019. 8. 27.
[쿠바리포트] 아바나의 한국인 트리오 아바나의 한국인 트리오 지금까지 쿠바에는 한국 학생이 없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남한 학생이 없었다. 이렇게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이곳 쿠바에서는 아시아인이 너무 적어서 모두가 모두를 알기 때문이다. 올해 엘람(ELAM)을 졸업하는 말레이시아 학생도 한국인은 지난 6년 간 단 한 명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아바나의 한국인 네트워크를 봐도 다들 선교 활동을 하는 종교인이나 쿠바 정부의 규제가 풀리기를 기다리고 있는 사업인이지, 토종 한국인으로서 이곳에 공부를 하러 오겠다는 학생은 없다.​ 그러나 2017~8년에 희한한 상황이 벌어졌다. 쿠바에서 공부하겠다는 한국인이 홀연히 세 명이나 나타난 것이다. 그것도 모두 의학을, 또 모두 엘람을 선택했다. 이들이 한국에서 따로 연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2019.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