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량리발 영화이야기

[청량리발영화이야기] 겨우 잡았는데, 이토록 허망하다니

by 북드라망 2023. 6. 7.

겨우 잡았는데, 이토록 허망하다니

<짝코>(1983) | 감독 : 임권택 , 주연 : 김희라, 최윤석 | 103분


 
어느 날, 노숙자 한 명이 '갱생원'으로 들어온다. 갱생원이란 “오고 갈 데 없는 사람들을 모아서 밥도 주고 잠도 재워 주는” 곳이지만, 실상은 ‘사회복지’보단 “속세에서 버림받고 소외당한”자들의 ‘사회적 청소’개념에 가까웠다. 그런데 그 노숙자는 침대에 누워 있는 누군가를 보고 깜짝 놀란다. 평생을 찾아 헤매던 그 사람을 여기서 보게 될 줄이야! 

살고 싶었으나 망실공비(사망, 실종 또는 아무리 찾아도 행방을 알 수 없는 공비)로 떠도는 빨치산 ‘백공산, 일명 짝코(김희라)’와 한평생 그를 잡기 위해 뒤를 쫓는 토벌대 경사 ‘송기열(최윤석)’은 30년 만에 서울의 ‘갱생원’에서 우연히 마주하게 된다.

송기열은 단번에 짝코, 백공산을 알아본다. 아닌 척하지만 백공산 역시 그를 알아보고 식은땀을 흘린다.

 

영화 <짝코>(1983)는 지리산을 시작으로, 갱생원까지 오게 된 두 사람의 시간을 ‘플래시백 기법(회상장면으로 넘어간 시점에서 과거의 시간으로 진행하는 기법)’으로 교차해서 보여준다. 이러한 전개에선 일반적으로 관객들은 “왜 그토록 송기열이 백공산에게 집착하게 되었는지”를 따라가게 된다. 그러나 두 사람, 백공산과 송기열은 이미 사회에서 잊힌, 버림받고 소외된 사람들이었고, 그들이 만난 곳이 하필 ‘갱생원’이었다는 점은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참고할 만한 영화가 있다. 영화 <올드보이>(2003)에서 15년 동안 군만두를 먹게 된 오대수(최민식)가 이우진(유지태)과의 첫 비대면 대화(산낙지를 먹었던 횟집 전화통화)에서 묻는다. “누구냐, 넌? 왜 날 가둔 거냐?” 그러나 우진은 ‘질문’이 잘못됐다며 웃는다. “아니죠. 지금 오대수씨가 물어야 할 것은, 왜 가뒀느냐가 아니라 왜 풀어줬느냐죠.” 과거의 ‘응축’된 시간인 현재는, 동시에 끊임없이 미래로 흘러가는 ‘이완’의 시간이기도 하다.

그렇다. 영화 <짝코>에서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두 사람 사이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가 아니라, “오갈 데 없이 늙어버린 두 사람이 왜 30년이 지난 시점에 굳이, 다시 만나게 됐을까?”여야 한다. 그럴 때 우리의 발걸음은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미래의 시간’으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갱생원에 갇혀버린, 늙은 두 사람에게 ‘지금’이란 무엇이며, ‘미래’란 무슨 의미인가?

토벌대의 정체성을 나타내던 선글라스가 부러진 안경테에 투명알로 바뀐 것 말고는 여전히 달라진 게 없는 송기열. 그가 갱생원에 들어올 때 갖고 있던 물건이라곤 백공산의 행적을 낱낱이 적은 수첩과 그를 잡을 때 사용할 포승줄이 전부였다. 백공산으로부터 평생 자유롭지 못한 송기열은, 그러나 다리가 부러지고 노숙자 신세에도 지금까지 살아갈 수 있었던 이유 역시 아이러니하게 백공산 때문이다.

그에 비해 백공산, 짝코는 자신의 본적을 영광에서 여수로 바꾸고, 이름도 ‘김삼수’로 개명하여 이미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백공산은 빨치산이 아닌 ‘김삼수’로 죽으려 한다. 그 동안 숨어 살면서 못 본 세상을 보기 위해, 죽은 뒤 눈을 다른 이에게 기증하고 싶다는 김삼수. 백공산이 현재를 살기 위해 자신을 변화하는 인물이라면, 송기열은 끊임없이 자신의 욕망에 사로잡혀 늘 과거 속을 헤맨다.

열혈경사 송기열은 빨치산 백공산을 잡아 특진을 하게 됐다. 그러나 결국 백공산은 도망치고 송기열은 누명을 쓰고 쫓겨난다.


만화영화의 대본을 쓰는 등 변변찮은 일로 생계를 유지하던 송길한 작가에게 영화사는 이번에는 ‘반공영화’ 시나리오 작업을 제안한다. 그 영화의 감독이 임권택인데, 공교롭게 임 감독과 송 작가 두 사람 모두 이념문제에 엮인 가족사로 연좌제(친족 관계에 있는 자에게 연대적으로 그 범죄의 형사 책임을 지우는 제도)로 인해 궁핍한 생활을 벗어나지 못했다.

3페이지 분량의 단편소설(작가 김중희)을 원작으로 하는 이 영화 <짝코>(1980, 대종상영화제 각색상)는 각색과 각본을 맡은 송길한 작가와 연출을 맡은 임권택 감독의 운명적인 첫 만남이며, 두 사람 모두 자신의 인생에서 ‘전환점’이 된 영화이기도 하다. 이후 그 둘의 인연은 <만다라>(1981, 대종상영화제 각색상, 감독상), <길소뜸>(1986), <씨받이>(1987, 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등 굵직한 작품들로 이어진다.

 

 

왼쪽이 임권택 감독, 오른쪽이 송길한 작가. "그 양반(임권택) 특징 중 하나가 아주 기분 좋고, 그 작품이 마음에 들면 아무말 없이 원고지를 낚아채듯이 확 갖고 없어져버려. 본인도 벅차서 그런 거겠지. <짝코>가 그랬어."


영화 <짝코>는 ‘끈질긴 토벌대가 결국은 망실공비를 잡는다’는 얼핏 반공영화의 줄거리로 보인다(실제로 ‘반공영화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제목부터 ‘백공산’의 별명인 ‘짝코’인 걸 보면 감독과 작가의 의도는 다른 곳에 있는 듯하다.

“우리가 그리고자 하는 대상은 반공영화와 아무 상관없는 사람들이다. 가만두면 그럭저럭 살 사람들, 그 두 사람의 삶을 누가 보상해 줄 것인가? 궁극적으로 무화(無化)가 되어버리는 이 허망한 삶을 안 그릴 수가 없었다.” 30년 만에 두 사람, 두 이념은 늙고 병든 상태로 만난다. 그들을 통해 ‘이념’에 사로잡힌 사회를 비판하려는 감독의 의도였을까? 빨치산과 토벌대의 옳고 그름이 아니라, 그 ‘프레임’ 너머를 보지 못하는 시각을 비판한다.

“한국전쟁은 여러 강대국들의 대리전에 불과”했으며, 한국사회는 그런 이념대결의 희생양은 아니었는지 영화는 묻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내용과 대사가 담긴 영화 속 TV토론 장면은 ‘검열’에 의해 삭제된다. 같이 TV를 보던 백공산은 “결국 너나 나나 불쌍한 사람들 아니냐”고 말하지만, 송기열은 끝까지 부정하며 받아들이질 못한다.

서로의 목적은 달랐으나, 결국 두 사람은 함께 갱생원을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제발 죽을 때만이라도 마음 편하게 죽자”는 백공산의 말에 송기열은 “그게 뭔 개소리냐”며 백공산의 멱살을 잡아 자신의 고향 가는 기차에 태운다.

과거, 백공산이 도망치자 공비를 일부러 풀어줬다는 누명을 쓰고 고향에서 쫓겨나듯 도망친 송기열. 설상가상으로 백공산을 쫓는 와중에 아내는 죽고 만다. 그럴수록 ‘백공산’만이 자신의 결백함을, 그래서 그의 삶이 실패하지 않았음을 증명해 줄 수 있었다. 한평생 빨치산으로 숨고 도망치며 사랑했던 사람마저 보내야 했던 백공산. “네놈 하나 찾기 위해 온 신경 쓰다가 눈까지 병”든 송기열. 그러나 그들을 편히 쉴 곳은 어디에도 없다.

두 사람은 겨우 서울역에 도착해 간신히 기차에 몸을 실었다. “송 경사, 몇 년 만에 가는 고향이여? 반겨줄 사람도 많겄제?” 송기열은 희미하게 웃는 건지, 우는 건지 모를 표정으로 고향에서의 행복했던 어느 날을 떠올린다.

그러나 자리에 앉은 지 얼마 안 되어 백공산, 아니 김삼수의 머리가 툭, 송기열의 다리 위로 맥없이 떨어진다. 허망하다, 허망해. 송기열의 표정이 일그러지는 듯, 얼굴 위로 무언가 스쳐지나간다. 끝내 두 사람은 ‘고향’에 돌아가지 못 했을 것이다. 아니, 가야 할 고향조차 이미 사라졌을 것이다. 그래, 결국 너나 나나 불쌍한 사람들 아니겠냐.

 

글_청량리(문탁네트워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