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량리발 영화이야기

[청량리발영화이야기] 카메라로 드러나는 질문의 태도

by 북드라망 2022. 10. 14.

카메라로 드러나는 질문의 태도

| 킬링필드, The Killing Fields | 롤랑 조페 감독 | 1984


영화 <킬링필드>는 1973년 캄보디아에서 시작합니다. 인접한 베트남에서 전쟁에 패한 미국이 막 철수할 무렵이었죠. 그로 인해 미국의 지원을 받던 캄보디아 ‘론 놀’정권의 세력도 약해지고, 론 놀 역시 하와이로 망명을 떠나게 됩니다. 이때 캄보디아의 급진적인 좌익무장단체인 ‘크메르 루즈’가 무정부 상태의 캄보디아를 장악하게 됩니다.

뉴욕타임즈의 기자 시드니(샘 워터스톤)는 급박한 캄보디아의 상황을 취재하기 위해 수도 프놈펜으로 날아갑니다. 공항에서 그를 기다리는 현지통역인 겸 기자인 프란(행 S. 응고르)은 비행기가 연착되고, 지프차들이 어디론가 급하게 이동하는 모습을 보고 뭔가 ‘사건’이 일어났음을 직감합니다. 그의 예상대로 그날, 크메르 루즈군을 섬멸하기 위한 폭격이 미국의 잘못으로 인해 엉뚱한 곳으로 폭탄이 투하되고 수 백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왼쪽이 시드니, 오른쪽이 프란

 

다음 날 두 사람은 함께 사건현장으로 달려가려하지만 가는 길이 쉽지 않습니다. 사건을 은폐하려는 미군의 방해로 미군 헬기를 이용할 수도 없었습니다. “내가 누군지 알아? 난 기자라고, 기자!!” 물론 소용없습니다.시드니는 미군 대령에게도, 프란에게도 있는 대로 짜증을 냅니다. 현장에 가는 일을 간곡히 부탁해도 모자랄 판에, 특종 때문인지 투철한 기자정신 때문인지 시드니는 시종일관 프란에게 날이 서 있습니다. 결국 프란이 사방팔방 뇌물까지 써가며 현장으로 갈 수 있는 루트를 겨우 알아내고, 두 사람은 처참한 현장에 도착합니다. 하지만 시드니의 돌발행동으로 두 사람은 크메르 루즈군에게 잡히고 목숨까지 위태로워집니다. 물론 프란이 또다시 사정사정한 덕분에 겨우 살아남게 되죠.

영화 <킬링필드>(1984)를 시작으로 <미션>(1986), <시티오브조이>(1992) 등 굵직한 걸작을 연출한 롤랑 조페 감독. 그의 대부분의 영화에서 카메라는 눈높이의 시점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구도로 이룹니다. 다소 단조롭게 보일 수도 있으나, 지루하지 않고 원만한 흐름을 유지하며 연출하는 게 롤랑 조페 감독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영화 초반 군인들과의 협상이 잘 안 된 프란과 그에게 윽박지르는 시드니가 노을을 배경으로 서 있는 장면이 있습니다. 감독은 다음 날 잔혹한 현장으로 어떻게든 떠나려는 두 사람을 아름다운 노을을 뒤로하고 실루엣처리 합니다. 자막과 소리만 없애면 생뚱맞게 어느 휴양지의 모습 같습니다. 어쩌면 18세기의 남미(미션)나 20세기의 인도(시티오브조이), 동남아(킬링필드)는 롤랑 조페 감독에게 있어서 영화의 배경 그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요? 선구자 혹은 지식인, 구원자인 서구 백인과 그 대상이 되는 지역의 원주민들의 구도는 그의 세 편의 영화 속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습니다. 그 때문인지 이 세 편의 영화 이후 그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스크린에서 사라집니다.


두 사람의 대화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석양의 배경



영상의 구도는 화면 내 인물과 사물을 배열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 구도에 따라 내용은 관객에게 다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영상의 구도는 감독이 이야기를 풀어가는 스타일과도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감독이 갖고 있는 질문의 태도는 카메라를 통해서 관객에게 전달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영화 <킬링필드>를 통해 롤랑 조페 감독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무엇이었을까요?

<제이슨 본> 시리즈의 폴 그린그래스 감독과 맷 데이먼이 다시 만나 화제가 된 영화 <그린 존>(2010)에 등장하는 ‘그린 존’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 뒤 바그다드 궁을 개조한 미군의 특별 경계구역입니다. 그 안에는 미군 사령부 및 이라크 정부청사가 자리하며 고급 수영장과 호화 식당, 마사지 시설, 나이트클럽 등이 있으며, 이슬람 국가에서는 금지된 술까지 허용되는 안전지대를 말하죠. <킬링필드>의 프랑스대사관은 정도의 차이가 많으나, 분명 캄보디아 내 ‘그린 존’, 안전지대입니다. 그러나 안전지대라 하더라도 미국에 우호적인 캄보디아인이 크메르 루즈군의 압박 속에서 버티고 살아남기란 쉽지 않습니다. 담장을 사이로 천국과 지옥이 마주하게 되죠. 결국 프랑스대사관에 억류된 서구인들만 고국으로 돌아가고, 프란을 비롯한 캄보디아인들은 수용소로 끌려갑니다.

<킬링필드>가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면, 영화 <그린 존>의 이야기는 이라크 전쟁입니다. 둘의 공통점 중 하나는 미국이 논란의 중심에 있다는 거죠. 미 육군 로이 밀러(맷 데이먼) 준위는 이라크 내 대량살상무기가 있다는 상부의 정보에 따라 작전을 수행하지만 번번이 실패합니다. 이에 밀러는 미군의 정보에 의심을 품죠. 이때 이라크 지역주민인 프레디(칼리드 압달라)가 정보를 제보하고, 밀러는 후세인 정부 고위인사들의 모임을 급습하는데 성공합니다. 그러나 프레디는 자신이 미국을 돕는 게 아니라고 선을 긋습니다.

 

“왜 이라크의 문제를 당신들 미국이 해결하려고 하나? 난 당신에게 돈을 바라고 제보를 하는 게 아니다. 이라크의 독재정권이 물러나길 바란다. 난 이라크를 사랑한다.”


프레디를 만난 후로 밀러는 충격을 받습니다. 상부의 정보와는 달리 대량살상무기 따위는 애초부터 없었으며, 자신이 이라크에서 하고 있는 일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질문합니다. 카메라는 시종일관 뛰어다니며 밀러의 뒤를, 이라크의 뒷골목을 쫓아다닙니다. 밀러의 혼란, 이라크의 불안한 상황, 프레디의 두려움 등이 흔들리는 카메라 구도 속에 잘 드러납니다. <킬링필드> 속의 시드니-프란과의 관계는 <그린 존>의 밀러-프레디와 유사합니다. 그러나 감독의 질문은 서로 다르죠.

 

어쩌면 롤랑 조페 감독에게 필요한 건 시드니를 통한 변명과 자책이 아니라 밀러와 같은 질문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영화의 마지막에서 그의 연출은 더욱 더 실망입니다. 크메르 루즈군에게 잡혀간 프란은 죽을 고비를 넘겨 겨우 탈출에 성공합니다. 시드니는 곧 바로 태국 국경으로 건너갑니다. 결국 다시 만나게 된 두 사람. 프란을 보자마자 시드니는 사과하지만, 프란은 뜬금없이 “용서할 건 아무것도 없다”고 말합니다. 그 둘 사이로 존 레논의 <이매진>이 맥없이 흐르며 영화는 끝납니다.


너무나 어이없는 결말, <이매진>이라는 노래가 이렇게 부끄럽게 느껴지다니....


시드니는 미국으로 돌아와 프란을 찾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무용하죠. 수용소를 겨우 탈출해 태국 국경까지 오는 건 오로지 프란의 몫이었습니다. 시드니의 기자상 수상식에서 친구인 사진기자 알은 프란을 이용한 거라며 시드니를 비난하지만, 그는 울면서 항변합니다. 자신이 좀 더 노력했어야 했다고 시드니는 자책하기도 하죠. 그러나 수많은 제3세계를 식민지로 만들고 침공했던 서구사회에게 필요한 건 ‘변명’이 아니라 ‘질문’입니다. 그에 비해 롤랑 조페 감독은 잘못을 쉽게 인정하고 불편함을 서둘러 해결하려고 하는 듯합니다.

이후 영화들 속에서 성직자와 원주민(미션), 의사와 농부(노동자)(시티 오브 조이) 등의 구도가 계속 유지되면서 롤랑 조페의 영화들은 ‘백인우월주의’라는 비판을 받습니다. 영화 <킬링필드> 역시 그러한 태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 영화로 프란을 연기한 응고르는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합니다. 극중 시드니가 기자상을 받으며 기사의 절반 이상은 프란의 도움으로 쓰였다는 수상소감을 전하죠. 이 영화 역시 프란을 연기한 응고르에 절반 이상을 기대고 있지만, 캄보디아 출신인 그는 아카데미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지는 못합니다. 더욱 안타깝게도 그는 미국에서 1996년 크메르 루즈의 소행으로 의심되는 총에 피살됩니다. 영화 <킬링필드>는 끝났고, 시드니와 프란은 상봉했지만, 캄보디아는 내전의 상처가 아직까지 아물지 않았습니다.

 

글_청량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