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인터뷰집3

서로에게 기대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 인터뷰집―신간 『불화와 연결』이 출간되었습니다! 서로에게 기대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 인터뷰집―신간 『불화와 연결』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작년 초여름에 ‘타인과 함께 사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 5인의 이야기를 풀어 낸 인터뷰집 『함께 살 수 있을까』를 냈던 김고은 선생님의 새로운 인터뷰집이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서로에게 기대는 법을 고민하는’ 청년들의 이야기가 담긴 『불화와 연결』입니다!     이번 책에도 다섯 명의 청년들 목소리가 담겨 있습니다. 장애동료상담가인 진우, 강화에서 활동하는 의 멤버였던 지역의 이웃청년 총총, 〈청년기후긴급행동〉의 대표 은빈, 인문학공동체 에서 살림멤버로 활동하는 윤하, 그리고 대체복무요원인 길완이 그 주인공들입니다.  흔히 사회에서 ‘정상’으로 여겨지는 코스가 있습니다. 초-중-고를 나온 .. 2024. 7. 25.
[호모쿵푸스, 만나러 갑니다] 역사를 만나다: 뜨거운 포부, 뜨거운 역사 역사를 만나다 : 뜨거운 포부, 뜨거운 역사 규창은 규문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아침에 출근해서 밤에 퇴근하고 때로는 밥도 한다. 세미나 시간에는 자리에 꼿꼿하게 앉아 온몸의 혈 자리를 주무르고, 틈틈이 스트레칭도 잊지 않는다. 행동이 야단스럽지 않고 은근해서 과묵할 것 같기도 하지만, 의외로 안 끼는 곳이 없다. 사람들이 모여있으면 자기 일이 아니더라도 슬쩍 등장해 말과 손을 보탠다. 깊은 저음의 목소리 때문일까? 참견하고 끼어들어도 촐싹대지 않는다. 그의 마음에는 풍랑이 치지 않을 것만 같다.그를 봐온 지 수 년이 지났건만, 규창의 마음속에 불이 들끓는다는 걸 인터뷰를 하며 처음 알았다. "열이 받았다", "뜨겁다", "혈기가 왕성했다", "악에 받쳤다", "치열하다" 자기 얘기를 할 때도, 시.. 2024. 5. 24.
『함께 살 수 있을까』 출간 기념 북토크 후기― 함께해서 참 좋았습니다! 다음에 또 함께해요! 『함께 살 수 있을까』 출간 기념 북토크 후기 ― 함께해서 참 좋았습니다! 다음에 또 함께해요! 지난 7월 8일 토요일은 북드라망에 참 뜻깊은 날이었습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으로 독자들과 대면하는 북토크가 열렸기 때문입니다. 청년 인터뷰집 『함께 살 수 있을까』의 북토크였는데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까지 모두 다섯 명의 청년들이 주인공이었습니다. 주인공의 수만큼 또 70명이 훌쩍 넘는 독자 분들이 함께해 주셔서 주인공도 준비했던 저희도 모두 오랜만에 복작복작함이 행복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인터뷰를 해주신 저자 김고은샘, 국내 1호 생추어리 의 무모 님, 새로운 신학 공동체를 꿈꾸는 의 오늘 님, 여성독서커뮤니티 의 구구 님, 그리고 초록으로 세상을 물들이려는 의 윤지 님, 이렇게 모두 다섯 분이 북토.. 2023.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