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간40

꼭 암기해야 할 사주명리 기초 ② 오늘은 천간과 지지의 음양오행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易)에서는 천간을 하늘의 기운으로, 지지는 땅의 기운으로 봅니다. 사람은 땅에서 살아갑니다. 그래서 사주를 풀이할 때에도 천간은 이상적인 세계를 의미하고, 지지는 현실에 펼쳐지는 것을 의미하죠. 그런데 천간지지는 어떻게 유래하게 되었을까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농서인 『월령』(月令)에서는 간지의 유래를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요임금이 오행(五行)의 정(情)을 채택하여 북두칠성의 기틀을 점쳐서 간지(干支)를 만들었다. 처음으로 갑을(甲乙)을 만들어 날짜에다 이름을 붙여서 간(幹)이라 하였고 자축(子丑)을 만들어 달에다 이름을 붙여서 지(支)라 하였다. ─강진원, 『알기 쉬운 역의 원리』, 정신세계사, 116쪽 천간의 열 글자를 양(陽)과 음(陰)으.. 2012. 2. 2.
꼭 암기해야 할 사주명리 기초 ①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 예고한대로, 사주명리 공부에 꼭 필요한 암기 자료들을 정리했습니다. 어떤 책을 읽어도, 어떤 강의를 들어도 이것만큼은 정말 꼭 외우셔야 합니다. 안 외우고 공부할 수 없나, 요즘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라고 생각하신다면 어쩔수 없지만(응?)……. 사주공부에 한계를 느끼고 계시거나 사주명리학 공부가 막막한 분들이 계시다면 꼭 읽어주세요! 이 자료를 암기한 후 세상이 달라 보이실 겁니다.(한자 까막눈인 저도 외웠는걸요~) 이번 포스팅 자료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각 오행의 배속에 관한 내용입니다. 오행에 배속된 천간, 지지, 계절, 방위, 육기, 오장육부, 오관, 정지, 오상, 오미, 오색, 오음, 수, 한글 자음을 외우면, 사주풀이를 할 때 바로.. 2012. 1. 18.
이 책으로 사주공부했어염! 사주팔자는 태어난 연월일시의 네 기둥을 뜻하는 사주명리 전문용어입니다. 여덟 글자 중 위의 네 개를 천간(天干), 아래 네 개를 지지(地支)라고 하지요. 천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열 글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천간에 관한 글 보러 가기) 지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열두 글자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천간의 첫글자인 갑과 지지의 첫글자인 자가 만나 갑자(甲子)년이 시작됩니다. 그 다음은 을축, 병인, 정묘…가 되고 지지가 두개가 더 많기 때문에 갑은 술을 만나지요. 천간과 지지의 조합은 총 60개! 갑자년에서.. 2012. 1. 5.
[왕초보 사주명리] 임진(壬辰)년은 왜 흑룡의 해일까? 지지를 알아보자 2편 Gee Gee Gee Gee baby baby;;; 편집부 몌미 12지지 두번째 시간이자 마지막 시간입니다. 그닥 아쉬울 것은 없지요? ㅎㅎ 올해가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올해는 신묘(辛卯)년이었지요. 천간의 신은 오행상 금에 해당한다고 했었습니다. 금의 색깔은 흰색이고요. 그래서 신묘년은 흰토끼 해였던 것입니다. 그럼 내년은 무슨 해일까요? 천간은 신 다음의 임(壬)이고, 지지는 묘 다음인 진(辰)이 합쳐져 임진(壬辰)년이 되는데요. 임은 오행으로는 물[水]이고 까만색을 뜻합니다. 진은 용이니 내년은 흑룡의 해인 것입니다. 그리하야, 물의 동물인 용이 물을 만난 해이니 아주 길한 해라고 해서 출산과 결혼업체 등이 벌써부터 들썩거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저부터도 ‘흑룡’이라고 하.. 2011.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