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95

조선, 새로운 의학을 만나다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에 다녀와서 조선, 새로운 의학을 만나다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에 다녀왔다. 조선시대 서양식 병원이었던 대한의원을 복원한 건물이다. 멀리서도 눈에 띄는 하얀색 시계탑은 그당시에도 유명했다고 한다. 이곳은 평일에는 9시에서 6시까지,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만 열고, 공휴일에는 쉬기 때문에 가기 전에 꼭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시라. 또, 연세대학교 병원에는 동은 의학박물관이 있다. 이곳은 당분간 전시실 개방을 못한다는 공지가 있어서, 다음을 기약하기로 했다. 제중원과 세브란스 병원 최초의 서양식 병원은 제중원이다. 1884년 갑신정변 중 민비의 조카인 민영익이 칼에 찔리는 사건이 있었다. 그때 민영익을 치료했던 사람이 바로 아래 사진에 나오는 미국 선교사 알렌이다. 당시 조선 의학은 침술과 탕약 위주였고, 외과.. 2014. 4. 21.
[근대소설극장] “뽕밭에는 한 번밖에 안 갔다. 어쩔 테냐?!” 한국근대소설, 등장인물소개로 맛보기 ➃ 맛볼 소설 : 나도향, 「뽕」, 『개벽』, 1925년 12월호 시놉시스 강원도 철원 용담에 사는 노름꾼 김삼보는 5년 전 인물이 남달리 빼어난 안협집을 데려와 같이 산다. 그러나 노름꾼인지라 한 달에 집에 하루나 있을까 말까 한 데다가 돈을 벌어오지도 못하는 삼보. 결국 안협집은 먹고살기 위해 품앗이 등을 다니다 어느 날 어떤 집 서방님에게 “실없는 짓”을 당하고 쌀말과 피륙 등을 받은 이후 그것처럼 좋은 벌이가 없다 싶어 차츰 동리에서 돈푼 상당한 사람들을 상대하며 살아간다. 안협집의 뒷집에 머슴을 살러 나타난 삼돌은 그런 안협집에게 계속 수작을 걸지만 안협집은 유독 삼돌에게만은 눈길도 주지 않고 계속 무시한다. 그러던 어느 여름 삼돌의 주인집과 함께 누에를 쳐서.. 2014. 4. 18.
꽉 막힌 감정의 행간의 파악하려면? 간기(肝氣)를 조절하라! - 행간혈 행간, 걸으면서 사이 만들기 간울보이의 속풀이 “감정이 안 풀어지고 계속 되풀이돼요.” 최근 간기울결(肝氣鬱結)을 겪어 속이 상했던 남자(이하 간울보이)의 첫마디다. “의견이 안 맞아 화가 났는데 얘기를 하면 끝날 줄 알았어요. 근데 얘기를 하면 할수록 계속 쌓이기만 하는 거예요. 화가 났던 일이 자꾸 리플레이 되면서 얘기한 것들이 다시 쌓였어요. 상대방이 얘기하는 게 전부 다 고깝게 들리는 거예요.” 쌓인다, 되풀이된다는 말을 연신 늘어놓는 간울보이. 어렴풋이 간기울결이 어떤 증상인지 짐작이 간다. “잠을 깊게 못 잤어요. 늦게까지 잠이 오지 않고, 잠을 자도 자꾸 뒤척이게 되는 거예요. 그러다보니 수업시간에 졸음이 오고 집중력도 떨어졌어요. 하루하루가 너무 피곤했어요.” 감정이 울체되면 자꾸 그 생각.. 2014. 4. 17.
허구에 대한, 허구에 의한, 허구의 매혹적인 글쓰기, 『픽션들』 '사실 같은, 그럴듯한 거짓말’에 대한 매혹, 픽션들 이러한 일원론 혹은 관념론은 모든 과학을 무용지물로 만든다. 하나의 사건을 설명(또는 판단)한다는 것은 그것을 다른 사건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틀뢴에서 그런 결합은 주체 이후의 상태이며, 이전의 상태에 영향을 끼치거나 그것을 설명할 수 없다. 각각의 정신적 상태는 축약이 불가능하다. 그런 정신적 상태에 이름을 부여하는, 즉 분류하는 단순한 행위는 왜곡과 편견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틀뢴에는 과학, 나아가 체계적 사고조차 존재하지 않는다고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틀뢴에도 이런 체계적 사고가 존재하며, 그것도 거의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존재한다. 북반구에서 명사가 그러하듯 철학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난다. 모든 철학이 오직 .. 2014.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