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씨앗문장

내 시의 저작권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by 북드라망 2018. 10. 11.

내 시의 저작권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내 시의 저작권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 손택수


구름 5%, 먼지 3.5%, 나무 20%, 논 10%

강 10%, 새 5%, 바람 8%, 나비 2.55%, 먼지 1%

돌 15%, 노을 1.99%, 낮잠 11%, 달 2%

(여기에 끼지 못한 당나귀에게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함)

(아차, 지렁이도 있음)


제게도 저작권을 묻는 일이 가끔 있습니다 작가의 저작권은 물론이고 출판사에 출판권까지 낼 용의가 있다고도 합니다 시를 가지고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들겠다고 한 어느 방송국 피디는 대놓고 사용료 흥정을 하기까지 했답니다 그때 제 가슴이 얼마나 벌렁거렸는지 모르실 겁니다 불로소득이라도 생긴 양 한참을 달떠있었지요 그럴 때마다 참 염치가 없습니다 사실 제 시에 가장 많이 나오는 게 나무와 새인데 그들에게 저는 한번도 출연료를 지불한 적이 없습니다 마땅히 공동저자라고 해야 할 구름과 바람과 노을의 동의를 한번도 구한 적 없이 매번 제 이름으로 뻔뻔스럽게 책을 내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작자미상인 풀과 수많은 무명씨인 새들의 노래들을 받아쓰면서 초청 강의도 다니고 시 낭송 같은 데도 빠지지 않고 다닙니다 오늘은 세번째 시집 계약서를 쓰러 가는 날 악덕 기업주마냥 실컷 착취한 말들을 원고 속에 가두고 오랫동안 나를 먹여 살린 달과 강물 대신 싸인을 합니다 표절에 관한 대목을 읽다 뜨끔해하면서도 초판은 몇부나 찍을 건가요, 묻는 걸 잊지 않습니다 알량한 인세를 챙기기 위해 은행 계좌번호를 꾸욱꾹 눌러 적으면서 말입니다 


_손택수, 『나무의 수사학』, 실천문학, 2010





나는 이런 감수성이 좋다. 언제부터인가 ‘인권감수성’ ‘젠더감수성’이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런 건 어떤 감수성이라고 해야 할까. 공생감수성이랄까. 아무튼 어느 누구도 저 혼자서 존재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살아갈 수도 없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자신이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일들도 모두 누군가의 도움 혹은 어떤 존재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들이다. 그런데 자연계에서 자신이 독보적 존재라고 생각하는 인간-종(種)은 이른바 ‘종특’으로 ‘자만심’을 장착한 듯, 뭐든 자기가 잘나서 이룬 일로 여기기 다반사다.


책을 만드는 일도 그렇다. 가끔 “그 책을 내가 만들었다”고 말해야 하는 경우에 처하게 되면 영 불편하고 어색하다. 편집을 내가 한 건 맞지만, 그걸 내가 만들었다고 할 수 있을까. 일차적으로 저자가 없었다면 아무리 내가 멋진 기획을 했다 해도 그 책은 세상에 나올 수가 없다. 하물며 내가 종이를 생산한 것도, 직접 인쇄기를 돌린 것도, 제본기를 운전한 것도 아니다. 고도의 산업사회일수록 ‘분업’이 세분화되어 있고, 거기에서 나는 다른 이들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아주 작은 부분을 담당할 뿐이다. 


일만 그런 것이 아니다. 이제는 먹고 자고 입는, 삶에 꼭 기본적인 활동은 물론이고, 이동하고 놀고 사귀고 하는 활동들도 더더욱 홀로 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가 삶에 필요한 여러 능력을 잃어버리고(편함에 밀려 터득하지 못하게 되고) 여러 사람들에게(또는 사람 아닌 존재들에게) 의탁하는 정도가 높은 사회에 살게 된 만큼,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럼에도 그런 ‘기댐’을 ‘돈’으로 가려 버려서 의식하기 힘들게 된 만큼, 우리에게 필요한 또 하나의 감수성은 저 ‘공생감수성’이 아닐까 싶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