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할머니7

정화스님 멘토링 - 회사일과 공부 중 무엇을 먼저 해야 할까요? 정화스님 멘토링 - 스님, 질문 있어요! 삶, 조금은 다르게 보기 1. 글쓰기를 할 때마다 부담됩니다. Q. 글을 쓸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소화도 잘 안 되고 원래 있던 공황장애가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휴학해야 할지 아니면 계속 공부를 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감이당 그리고 남산강학원에서 장기프로그램을 하는 학인들은 누구나 글을 써야 한다. 한 학기당 1번씩 그러니 1년에 4번 정도다. 질문자뿐만 아니라 학인들 모두가 에세이를 부담스러워한다. 많은 사람 앞에서 자신의 글을 발표하고 질문과 코멘트를 받는 행위(?)는 절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스님 : 우리는 글을 쓰는 노력은 하지 않고 글을 잘 쓰려는 욕망만 앞섭니다. 수백, 수천 년 동안 살아남은 책들은 절대 쉽게 쓰이지는 않았습니다. 자신의 .. 2015. 3. 6.
후기도 아니고 씨앗문장도 아닌, 편집자 k의 낭독의 추억 편집자 k의 낭독의 추억* 이 글은 고미숙 선생님의 『낭송의 달인 호모 큐라스』의 3부 4장, 5장 ‘낭독의 추억’과 무관하지만 어쨌든 저는 관계자니까 그렇다고 아무 상관없다고는 할 수 없다는 것을 밝혀 둡니다(응?). 할머니는 옛날이야기를 해주지 않았다. “잠도 안 오는데 옛날얘기나 하나 해줘.” 어린 것의 간청에도 할머니는 번번이 입술을 쭉 내밀며 콧방귀까지 날려주는 것이었다. 이유가 없진 않았다. ‘옛날이야기를 좋아하면 가난하게 산다’가 그것이었다. 태어난 지 여덟 해를 겨우 넘겼을 무렵이었지만 아무리 그래도 살다 살다 그런 말은 처음 들었다. 그게 뭔 상관이란 말인가. 아무리 패악을 부려도 할머니는 단호박(매우 단호한 태도를 이르는 신조어로서… 흠흠;;)이었다. 그때 옛날이야기에 대한 나의 허기를.. 2014. 11. 25.
달달한 기억 속 내 사랑 '팥' 나는 왜 팥이 좋은가 편집부 몌미 이것은 무엇일까?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도 시다. 독이 없으며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옹종농혈과 소갈을 치료하며 수족과 창만을 아래로 내려준다. 또 이것은 체내의 수분을 쫓아내는 성질이 있으므로 수기와 각기(脚氣; 팔다리가 붓는 것)를 치료하는 최고의 처방이나 오래 복용할 경우 몸이 마르면서 살결이 검어지고 꺼칠해진다. 힌트, 저 글은 『동의보감』「탕액편」중의 내용이다. 동의보감? 탕액? 그러면 약재인가 하는 이들이 분명 계실 것이다. 물론 음식과 약의 근본은 같다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이라는 말도 있으니 약재라 하여도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이나 우리는 대개 저것을 식품으로 생각한다. 한자로는 소두(小豆) 혹은 □소두(□小豆)라고 한다. 이제는 답이 나올 수밖에 없는 마.. 2012.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