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레스타인3

[월간 이수영] 칸트의 ‘보편성’에서 배울 수 있는 것 칸트의 ‘보편성’에서 배울 수 있는 것 월간 이수영 2023년 12월호 중동에서 이스라엘 대 하마스의 전쟁이 한창인 와중에, 지구 반대쪽 서울 청계천에서도 대립하는 것으로 보이는 두 시위가 동시에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쪽은 팔레스타인 민족의 해방을 외치고 있고, 다른 한쪽은 하마스에 의해 납치된 인질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친팔레스타인과 반팔레스타인, 이들은 두 진영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뿐일까요? 철학적으로 이 두 진영의 사유 체계에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닐까요? 내 일을 잘하는 것은 이성의 사적사용일 뿐 칸트는 계몽을 미성년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미성년이란 ‘타인의 지도 없이는’ 자신의 이성을 사용할 수 없는 무능력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미.. 2024. 7. 17.
진정한 '세계문명화'를 위한 노력 : 뉴욕과 에드워드 사이드 (2)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문화를 위하여 (2): 뉴욕과 에드워드 사이드 “고향을 감미롭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허약한 미숙아이다. 모든 곳을 고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은 이미 상당한 힘을 갖춘 사람이다. 그러나 전 세계를 타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이야말로 완벽한 인간이다.” - 재인용, 에드워드 사이드, 박홍규 역,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12년, 445쪽 이 아포리즘을 읽으면 장면 하나가 떠오른다. 아쉬움 없이 고향을 등지는 방랑자. 다시는 돌아오지 않겠노라고 선언하는 결연한 표정. 이 사람은 고향과 무슨 척이라도 지은 걸까? 아니다. 그는 지금 고향 땅이 아니라 고향이라는 표상이 제공하는 “감미로움”을 거절한다. 현재가 살기 팍팍하고 이해하기 힘들수록 과거는 미화되기 마련이다. 고향은 익숙한 과거를 붙.. 2016. 5. 27.
[약선생의 도서관] 『말년의 양식에 관하여』"말년이야말로 가장 힘이 넘치는 때" 마지막 거처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년의 양식에 관하여』 2000년 9월 30일. 소년 무함마드 알두라는 아빠와 함께 중고차 시장에 갔다. 아마 아빠는 일을 얻기 위해서 싼 중고차가 필요했을 것이다. 아빠는 살짝 걱정되긴 했지만, 오랜만에 구경도 시켜줄 겸 아들 무함마드와 같이 길을 나섰다. 아빠는 최근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봉쇄와 통제가 심해진 걸 피부로 느낀다. 소년이 사는 가지지구(Gaza Strip) 주변에 이스라엘군이 철조망 장벽과 검문소를 세운지 오래다. 소년은 친구들과 이 알 수 없는 장벽 밑으로 굴을 파 놀기도 한다. 소년에게 장벽 밖은 하나의 유혹이다. 그러나 그런 소년을 보고 엄마는 그러면 혼난다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곤 했다. 오늘 아침도 호되게 한 소리를 들은 참이라 소년은 시무룩하다... 2016.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