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존재37

“인간은 모든 생명 가진 것들과 눈물을 나눠 갖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인간은 모든 생명 가진 것들과 눈물을 나눠 갖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인간은 모든 생명 가진 것들과 눈물을 나눠 갖는 법을 배워야 한다. 상처 입은 동물, 부러진 풀줄기의 고통을 가슴으로 느낄 줄 알아야 한다. 어머니 대지는 우리의 살이다. 바위는 우리의 뼈이고, 강물은 우리 혈관을 흐르는 피다. (돈 호세 맞추와[휘촐족 인디언 성자]의 말; 시애틀 추장 외, 『인디언 연설문집: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류시화 엮음, 더숲, 2017, 568쪽)  태어난 인간의 시야는 참 좁다. 영아기 때는 오로지 생존을 위해 활동하고, 유아기부터 아동기까지는 대체로 자기만 생각한다. 사회화란, 나의 행동이 남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고려할 줄 알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생각보다 부단히 아이에게 이 부분을 가.. 2025. 1. 6.
[내인생의일리치] 돌봄 속에서 자유로워지는 노년을 위해 돌봄 속에서 자유로워지는 노년을 위해    글 / 경혜(노는 게 젤 좋지만 어쩌다 시작한 공부에 매달려 있는 중입니다.공부하면서 만난 학우들과 여러 인연으로 만난 지인들 덕분에독락(獨樂)의 굴레에서 빠져나와 동락(同樂)의 맛을 알아 가는 중입니다.) 지금까지 일했는데 또 일을 하라구? “휴, 이제 끝인가?” 시어머니 장례 잘 치르고, 아이가 무사히 군대를 제대하고, 동생 병수발과 장례까지 다 마무리하고 나서 들었던 생각이다. 중년에 접어들면서 아이 키우고 매일 식구들 먹을 음식하고, 청소하고, 시어머니 보살피고, 온갖 자질구레한 집안 대소사 챙기고, 직장 다니는 남편 뒷바라지하고, 때에 맞춰 휴가를 반드시 가야만 하는 남편에 맞춰 휴가도 다녀야 했던 수많은 집안일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다. 그러자 남편이 .. 2024. 8. 9.
담이 잘 작동하면 온몸이 즐겁다! -담(膽)과 운명애 #운명애-담기주승(膽氣主升)-세네카 운명을 사랑하는 방법 담(膽)은 ‘쓸개’라고 부르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웅담(熊膽)은 곰의 쓸개를 말한다. 오래전 곰의 몸에 관을 꽂아 쓸개즙(담즙)을 빨아먹다가 쇠고랑 차는 뉴스를 본적 있다. 정말이지, 나이든 아저씨들이 함께 모여서 즙을 빨아먹는 모습은 그야말로 그로테스크했다. 이 장면을 엘 그레코의 방식으로 그림 그리면, 그 어떤 그림보다 초현실적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 좀비의 세계가 바로 이런 모습 아닐까 싶다. 아, 지옥이란 저 너머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저 TV에 있구나. 이제 나도 그 아저씨가 되었다. 나는 어떤 즙을 빨아 먹고 있을까. 그러나 지옥이 그리 멀리 있지 않은 것처럼, 천국도 그리 멀지 않다. 담은 간 아랫부분에 붙어 있는 배 모양의 주.. 2014. 5. 14.
허구에 대한, 허구에 의한, 허구의 매혹적인 글쓰기, 『픽션들』 '사실 같은, 그럴듯한 거짓말’에 대한 매혹, 픽션들 이러한 일원론 혹은 관념론은 모든 과학을 무용지물로 만든다. 하나의 사건을 설명(또는 판단)한다는 것은 그것을 다른 사건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틀뢴에서 그런 결합은 주체 이후의 상태이며, 이전의 상태에 영향을 끼치거나 그것을 설명할 수 없다. 각각의 정신적 상태는 축약이 불가능하다. 그런 정신적 상태에 이름을 부여하는, 즉 분류하는 단순한 행위는 왜곡과 편견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틀뢴에는 과학, 나아가 체계적 사고조차 존재하지 않는다고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틀뢴에도 이런 체계적 사고가 존재하며, 그것도 거의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존재한다. 북반구에서 명사가 그러하듯 철학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일어난다. 모든 철학이 오직 .. 2014.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