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영8 [월간 이수영] 칸트의 ‘보편성’에서 배울 수 있는 것 칸트의 ‘보편성’에서 배울 수 있는 것 월간 이수영 2023년 12월호 중동에서 이스라엘 대 하마스의 전쟁이 한창인 와중에, 지구 반대쪽 서울 청계천에서도 대립하는 것으로 보이는 두 시위가 동시에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쪽은 팔레스타인 민족의 해방을 외치고 있고, 다른 한쪽은 하마스에 의해 납치된 인질들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친팔레스타인과 반팔레스타인, 이들은 두 진영으로 나뉘어 서로 대립하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뿐일까요? 철학적으로 이 두 진영의 사유 체계에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닐까요? 내 일을 잘하는 것은 이성의 사적사용일 뿐 칸트는 계몽을 미성년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미성년이란 ‘타인의 지도 없이는’ 자신의 이성을 사용할 수 없는 무능력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미.. 2024. 7. 17. 북-인드라망의 한 그물코^^―‘인문공간 세종’과 ‘하심당’, ‘수영스쿨’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 북-인드라망의 한 그물코^^―‘인문공간 세종’과 ‘하심당’, ‘수영스쿨’ 홈페이지를 소개합니다! 북드라망과 북튜브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희 북드라망과 북튜브가 서울 중구 필동의 감이당을 비롯한 여러 공부공동체들과 네트(그물)로 엮여 북-인드라망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애독자님들은 다 아실 터인데요. 최근 몇 달 사이 새로운 그물코가 형성되기도 하고, 또 새로운 온라인 집이 생긴 곳들 등이 있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 범고래부족 ‘인문공간 세종’의 새 온라인캠프가 열렸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문공간 세종'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그동안 카페 형태로 운영되던 ‘인문공간 세종’이 자체 홈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우주를 느끼고, 인류를 관찰하고, 배움을 나누자!”는 슬로건 아래 뭉친 범고래부.. 2024. 7. 16. [월간 이수영] ‘환상’에 대하여: 스피노자, 맑스, 칸트의 생각 ‘환상’에 대하여 : 스피노자, 맑스, 칸트의 생각 월간 이수영 2023년 7월호 어떤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데, 존재한다고 여기는 것이 ‘환상’입니다. 철학은 기본적으로 환상의 기반을 파괴하고자 합니다. 환상은 올바른 통찰에 기초하고 있지 않으므로 우리 삶을 왜곡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스피노자가 바로 환상과 전투를 벌인 대표적인 철학자입니다. 반면 맑스와 칸트는 삶에서 모든 환상을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환상이 우리 삶에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라고 여기는 것이죠. 환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철학자, 스피노자, 맑스, 칸트의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지로부터 오는 스피노자의 환상 스피노자는 우리의 관념이 신체를 통해서만 획득된다고 생각합니다. 관념은 전체를 보지 못하.. 2024. 4. 9. [월간 이수영] ‘운명애’에 필요한 것들: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운명애’에 필요한 것들 : ‘반복’ 개념을 중심으로 월간 이수영 2023년 6월호 니체는 그의 책, 『즐거운 학문』(1882년)에서 새해 소망으로 ‘필연적인 것을 아름답게 보고 운명을 사랑하는 일’을 이야기합니다. 운명을 사랑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요? 니체의 운명애(Amor fati)는 이 삶이 여러 번 반복되어도 똑같이 살기를 원하는 ‘영원회귀’와 중요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운명애는 삶을 긍정하겠다는 단순한 각오가 아니라, ‘반복’이라는 철학적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니체의 영원회귀가 전제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니체의 반복은 다른 철학자의 반복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능성’을 제거한 후에 오는 운명애 니체에 따르면, 범죄를 대하는 태도에 두 가지 .. 2024. 3.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