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영8 [월간 이수영] ‘무(無)에 대한 의지’에 대하여 ‘무(無)에 대한 의지’에 대하여 월간 이수영 2023년 4월호 부제: 무에 대한 철학자들의 다른 생각 니체는 허무에 대한 욕망이 우리의 삶을 병들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칸트와 헤겔은 공백이나 무(無)가 인간의 본원성에 속하므로, 이것들을 바탕으로 인간을 규정하고 이해하고자 합니다. 니체, 칸트, 헤겔, 이 세 철학자가 인간을 어떻게 다르게 사유하는지, 공백과 무와 같은 부정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니체: 허무에 대한 욕망으로 삶을 적대시하는 인간 니체는 인간은 ‘허무를 강력하게 욕망하는 존재’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이 허무에 대한 욕망은 우리에게 원래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생성’된 것입니다. 누가 허무를 욕망하도록 만들었을까요? 바로 니체의 책 『도덕의 계보』.. 2024. 2. 6. [월간 이수영] 악(惡)에 대하여: <헤어질 결심>에서 악은 누구에게 있는가? 악(惡)에 대하여 : 에서 악은 누구에게 있는가? 월간 이수영 2023년 3월호 철학자들은 자연과 신의 세계에는 악이 없다고 공통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칸트도 신에게는 악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이 세 명의 철학자는 우리 인간의 악에 대해서는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스피노자: 관계 속에서 규정되는 악 스피노자는 모든 사물(또는 행위)을 ‘결합과 해체’의 관계로 봅니다. 나라는 개체의 차원에서 죽음이라는 사건은 내 신체의 해체입니다. 하지만 신의 차원에서 보면, 죽음은 신체가 자연과 결합하는 경험입니다. 이렇게 신에게는 모든 것이 결합의 과정이므로, 해체로 인한 슬픔이나 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피노자는 사물 자체에는 악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선과 악, 덕.. 2024. 1. 3. [월간 이수영] 칸트의 ‘물자체’로 무엇을 할 것인가 칸트의 ‘물자체’로 무엇을 할 것인가 월간 이수영 2022년 10월호 칸트는 ‘물자체’의 철학자로 유명합니다. 물자체란 우리가 알 수 없는 총체로서의 ‘사물 그 자체’를 말합니다. 칸트는 초월성이나 신적인 대상을 고민하는 과정에서가 아니라,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물자체 개념을 도출해냅니다. 물자체: 주체의 시작 칸트 이전의 형이상학은 감성의 영역을 무시했었습니다. 오직 지성만을 중요시했던 것이죠. 하지만 칸트는 인간은 감성이라는 조건을 통해서만 세상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우리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감성적 필터에 의해서만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보를 지성이 종합하고 구성하는 방식으로 세상을 인식하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시공간이라는 감성적 조.. 2023. 9. 5. 북튜브 출판사의 신간 『니체 강의 : 전복의 사유와 변신의 기술』이 출간되었습니다!! 북튜브 출판사의 신간 『니체 강의 : 전복의 사유와 변신의 기술』이 출간되었습니다!! 북드라망&북튜브 독자님들, 안녕하세요. 북튜브 출판사의 통산 22번째 책, 이수영 선생님의 『니체 강의 : 전복의 사유와 변신의 기술』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2011년 동녘 출판사에서 나왔던 『명랑 철학 : 니체를 읽는 아홉 가지 키워드』의 개정판입니다. 개정판을 내면서 새로 옷을 갈아입었는데요. 여러 차례의 강의를 거치면서 책이 집필되었다는 점에 착안해서 개정판에서는 제목을 ‘니체 강의’로 바꾸었고요. 책의 내용이 기존의 가치관을 전복하고 삶을 바꾸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을 제시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복’과 ‘변신’이라는 키워드로 새롭게 부제를 지어보았습니다. 제목 외에도 개정판에서 몇 가지 바뀐 부분이 .. 2023. 5.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