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경7

[토용의 서경리뷰] 선양이냐 세습이냐 선양이냐 세습이냐 토용(문탁네트워크) 세습되는 권력 전근대사회에서 권력은 세습되어 왔다.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벌어지는 치열한 다툼 속에 태자로 세우기 위한 모략과 살인은 다반사였다. 대부분은 장자 계승이 원칙이었으나 왕의 아들이면 누구나 태자가 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자식을 태자로 세우기 위한 후궁들의 암투는 때로 역사를 핏빛으로 물들이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런 일은 춘추전국시대 흔하게 일어났다. 진(晉) 문공이 왕위에 올라 춘추오패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태자였던 자신의 형 신생이 죽음을 당했기 때문이었다. 세습이 꼭 자식에게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상(商)나라의 경우는 형제 계승이었다. 탕왕 이후 형제로 계승되었는데, 왕이 죽으면 왕위는 동생에게로 간다. 동생이 죽으면 왕.. 2025. 7. 7.
[토용의 서경리뷰] 도덕국가의 원형을 찾아서 - 요순(堯舜)의 덕과 정치 도덕국가의 원형을 찾아서 - 요순(堯舜)의 덕과 정치 토용(문탁 네트워크) 신화가 역사가 되다 정치는 실종되고 ‘심판’만 있었던 총선이 끝났다. 공약이 뭐였는지도 모르겠다. 민생은 아랑곳없이 저들만의 욕망을 채우려는 선거를 언제까지 봐야할지.... 의식주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살 만한 세상, 보통 사람들이 소박하게 꿈꾸는 세상일 것이다. 저마다 각자 살 만한 세상에 대한 감각은 다르겠지만, 동양고전 특히 유가에 관한 책들을 읽다보면 살 만한 세상의 전형으로 ‘요순의 시대’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요와 순은 유가에서 가장 존경받아온 성왕이다. 요와 순이 다스렸던 시대는 태평성대라 불렸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통치자가 누구인지 크게 관심이 없었다. 통치자도 자신들을 특별하게 드러내지 않았.. 2025. 6. 2.
[토용의 서경리뷰] 『서경(書經)』을 소개합니다! 『서경(書經)』을 소개합니다! 무슨 책을 읽을까? 한문강독세미나는 한문으로 된 동양고전을 강독하는 세미나이다. 2010년부터 시작했으니 문탁의 역사와 함께한 세미나라고 할 수 있다. 한 권의 책을 읽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강독하던 책이 끝을 보일 무렵이면 다음 번 책을 두고 즐거운 고민을 시작한다. 『서경』을 시작하기 전에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강독 중이던 『근사록』이 끝나갈 무렵 다음 책을 두고 세미나원들간에 설왕설래가 시작되었다. 동양고전의 기본이 사서삼경인데 사서는 읽었으니 이제 삼경으로 가야하지 않을까? 『시경』,『서경』,『주역』 중 무엇을 읽을까? 『주역』과 『시경』은 이문서당에서 읽고 있거나 읽을 예정이니 패스.(이문서당에서는 2018년에 『주역』을 2019년에 『시경』을 읽었다.).. 2025. 5. 12.
『시경』(詩經)을 읽기 위한 가장 친절한 가이드,『시경 강의』 네번째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시경』(詩經)을 읽기 위한 가장 친절한 가이드, 『시경 강의』 네번째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 북튜브 독자님들~  북튜브 출판사 신간 『시경 강의 4 : 제풍, 진풍, 조풍』이 출간되었습니다. 『시경 강의 4』에서는 춘추시대 제후국들의 노래를 모은 15편의 ‘국풍’ 중에서 「제풍」(齊風), 「진풍」(陳風), 「조풍」(曹風)의 노래들을 우응순 선생님의 상세하고 친절한 강의를 통해 읽습니다. 이번에 수록된 「제풍」, 「진풍」, 「조풍」은 각각 제나라와 진나라, 조나라의 노래들이죠. 우응순 선생님은 『사기』와 『춘추좌전』 등 여러 사서(史書)를 인용하면서 이 세 나라가 가진 특성과 처한 상황을 살펴보고, 각 나라의 사정이 어떻게 시에 반영되었는지를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무왕은 몰.. 2024.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