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살2

불만족이 사라진 삶을 사는 법―신간 『정화 스님의 반야심경 강의』에서 알려드립니다! 불만족이 사라진 삶을 사는 법―신간 『정화 스님의 반야심경 강의』에서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저희 북드라망에서 2017년부터 거의 매년 책을 발간하고 계신 저자 선생님이 한 분 계십니다(정확하게는 두 해 정도 건너뛰셨습니다만...^^;;). 누구실까요? 북드라망의 애독자이시라면 오선민 선생님을 떠올리실 수도 있겠는데요, 오선민 선생님은 2020년부터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책을 내고 계시옵고요, 오늘의 주인공인 저자 선생님은 2017년부터 내고 계십니다. 네, 정답은 바로 정화 스님이십니다! 작년 초에 발간했던 『왜 깨달음은 늘 한박자 늦을까』는 우리에게는 다소 낯선 『전심법요』와 『완릉록』을 정화 스님께서 풀어내 주셨던 것이었는데요, 오늘 소개해 드리는 신간은 우리에게 무척 익숙한,.. 2024. 6. 25.
『금강경』씨앗문장 : 기대하거나 바라지 않는 것, 그게 좋다 『금강경』 - 기대하거나, 바라지 말고……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반드시 살아 있는 모든 중생들, 곧 알에서 태어난 중생, 모태에서 태어난 중생, 스스로 변화해서 태어난 중생, 형체가 있는 중생, 분별이 있는 중생, 분별이 없는 중생, 분별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중생 모두를 번뇌가 다 없어진 열반에 들게 하여 제도해야겠다는 마음을 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을 모두 제도했을지라도, 참으로 제도되는 중생은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 수보리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자아라는 생각[我相], 개인적인 윤회의 주체라는 생각[人相], 어떤 실체에 의해 살아있다는 생각[象生相], 개체의 영원한 생명이라는 생각[寿者相] 등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 2016.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