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가 사랑했던 여인, 마리 테레즈를 만나다
무언가를 구경하는 눈은 오로지 결과만을 본다. 기린이 어떤 기후를 좋아하고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지금 이곳에 오게 되었는지를 보지 않고, 그냥 거기 존재하는 기린만을 본다. 마찬가지로 미술관을 찾은 사람들은 그 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그 과정에서 작가가 무슨 생각을 했고, 그걸 본 사람들은 또 무슨 생각을 했는지, 어떤 경로로 작품이 그곳에 들어오게 되었는지 등등의 과정은 생략한 채, 결과물로서의 작품만을 바라본다. ─채운, 『예술의 달인, 호모 아르텍스』, 164쪽 예전에 퐁피두 미술전에 다녀온 적이 있다. 미술책에서 본 마티스, 샤갈, 피카소처럼 유명한 화가들도 있었고 처음 듣는 화가들의 작품도 많았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때 인상적이었던 몇몇 그림은 "미술책에서 봤던 것보다..
2013. 9. 3.
중국의 수(數), 건축과 음악과 우주를 말하다
중국사유와 수, 세번째 이야기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가리킬 때, 사람들은 보통 우주, 자연, 세계 같은 말들을 사용한다. 그래서 이런 용어들이 엄밀하게 구분되지 않은 채, 대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이론이나 철학들이라는 의미로 우주론, 자연학, 세계관 등등이 유통된다. 근대 서구철학의 구도에서는 이런 지칭들이 존재론이라는 말로 통할된다. 존재론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실재란 무엇인지, 그것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하는지 등을 탐구한다. 이를테면 기독교는 창조론에 기반을 두고 존재론을 구성한다. 이 구조에서는 초월적인 신의 세계와 현실 피조물들의 세계 간에 넘을 수 없는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기독교적 세계관은 다의적 세계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
201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