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쉰소리 객소리 딴소리] ‘동안’은 ‘성숙’을 잠식한다
‘동안’은 ‘성숙’을 잠식한다 “자본주의가 바로 그랬다. 자본은 봄/여름만 알지 가을/겨울은 알지 못한다. 오직 소유하고 증식할 뿐, 버리고 비우는 것에 대해서는 상상조차 하지 않는다. 인생을 청년기에만 묶어 놓은 격이다. 즉, 청년기의 야망—노동과 화폐와 에로스—을 어떻게 증식할 것인가에 대한 공학과 기술만 있을 뿐! (……) 중년 이후의 이념과 가치는 오직 ‘안티 에이징’이다. 그 결과 우리시대 중년들은 청년을 질투하면서, 또 청년을 모방하고 표절하면서 살아간다. 억지로 열정적인 척 하면서, 피부의 ‘골든타임’을 지키느라 안간힘을 쓰면서,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이!’라고 우기면서.”(고미숙,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 북드라망, 2016, 193쪽) 한여름이나 한겨울..
2023. 1. 16.
을미년, 새해 목표를 아직 못 세웠다면 '절기에 맞춰 살기'는 어떨까요??
올해는 ‘절기’를 의식하며 살아보자! 어김없이 새해가 찾아왔고, 어김없이 나이는 또 한 살 늘어나고야 말았습니다. 흑. 나이를 먹는 것은 슬프지 않으나 도대체 시간이 어떻게 가는 것인지 모르는 것이 조금 서글픕니다. 우리가 쓰는 시간, 날짜의 개념들이 모두 글자(요일), 숫자의 반복이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 년에 많은 금요일이 있지만 봄의 금요일과 여름의 금요일이 다를 것이고, 가을과 겨울의 금요일도 다를 것인데, 살다보면, 더군다나 학교나 직장의 리듬(평일과 주말의 구분)에 따라 살다보면, 그날이 그날 같은 날이 줄줄이 이어져서 지나고… 그러고 나면, '어 또 한 살 먹었네' 이렇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올해의 '절기'들! 저마다 다른 이름, 각각이 다른 의미를..
2015.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