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테로토피아] 거짓말과 위장의 봉기
거짓말과 위장의 봉기 미셸 푸코, 『정신의학의 권력-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3~74』, 오트르망(심세광, 전혜리) 옮김, 난장, 2014. 오래전 젊은 시절 나는 어떤 사람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본 적이 있다. 혹시 사회 생활하면서 다른 사람처럼 행동해 본 적 있어? 나도 그래본 적이 있어서, 한창 취기가 오르고 비슷한 주제로 얘기하던 차라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보았다. 술을 마시며 물어봐서인지, 그는 웃으며 친구들과 어느 바에서 여자들에게 접근할 때 그래본 적이 있다고 조용히 이야기했다. 다니는 직장을 숨기고 마치 사업하는 사람인 척하며 서너 시간 대화해보았다고 한다. 그러고 헤어졌다고 하니, 아주 은밀하지만, 결론은 건전한 단막극 같았다. 그래, 그래서 그게 재미있었어? 응, 이게 말이지 은근 스릴이 있..
2022. 9. 23.
[헤테로토피아] 새로운 광기가 나타났다
새로운 광기가 나타났다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이규현 옮김, 오생근 감수, 나남, 2020(재판). 공룡의 고고학과 침묵의 고고학 푸코의 고고학적 저서들, 특히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 『말과 사물』 등을 읽으면, 어딘지 주제와 소재들이 난삽하게 분열되어 있고, 심한 경우 서로 아무런 관계없이 따로따로 전개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곤 한다. 예컨대 『임상의학의 탄생』에서 언어와 의학의 관계는 분명하게 와닿지도 않고, 그걸 설명하기 위해서 의학을 굳이 끌고 와야 할 이유를 알지 못하며, 『광기의 역사』에서는 광기가 정말 있긴 있는데 부당하게 다루고 있다는 것인지, 아니면 존재하지도 않는 것을 만들어 어처구니없게 억압하고 있다는 건지 헷갈린다. 또 『말과 사물』에 나오는 에피스테메 역시도 ..
2022. 3. 25.